이미 아동·청소년 비만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비만 유발 제품인 청량음료나 스낵 등에 일정 정도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이와 관련한 국가 차원의 대책이 없는 설정이다.
복지부에서는 최근 올해 안에 비만 중·장기 대책 마련을 위해 관련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 내가 본 신문 보도에 따르면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비만 대책 마련을 추진했으나 관련 부처 간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
하지만 관계 정부부처간의 협력, 연계가 부족해 효과적으로 정책이 시행되지 못하는 한계를 초래한다는 지적이 있어 향후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비만예방 관련 사업은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식품의약품안전청, 문화체육관광부 등 여러 부처와 산하기관 및 지자체에서 조정되지 않고 산발적으로 시행돼 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만관련 사업들은 여러 사업 주체들이 산발적으로 각기 사업을 전개하고 있어 비만의 예방과 관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여러 사업과 정보로 국민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자원의 중복과 비효율적 활용이 초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동과 청소년의 비만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책 및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하루 빨리 정부에서 대책 마련이 되어야 한다.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주의력결핍장애 즉 ADHD에 대해서도 소아비만과의 연관성은 매우 뜨거운 이슈이다. 실제로 미국의 연구들에서는 ADHD 아동들 사이에서 비만일 확률이 1.5배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즉 비만한 아동들의 경우, 주의력장애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학습능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소리이다. 비만이 아이의 미래를 크게 결정짓는 중요인자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