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인플레이션 공포

등록일 2021-11-14 18:13 게재일 2021-11-15 19면
스크랩버튼

미국 블롬버그 통신은 지난달 “밥값과 이발비를 내기 위해 금조각을 떼어내는 베네수엘라 국민들”이란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내용은 베네수엘라에서는 1세기전 금을 교환수단으로 사용하던 시절로 되돌아갔으며 월급도 금으로 주고 호텔 숙박비도 금으로 주고받는다고 했다.

베네수엘라는 수년전부터 공식 물가상승률 발표를 하지 않는다. 한때 물가상승률이 수백만%까지 치솟았고, 지금도 수천% 뛰고 있다. 법정화폐의 가치가 떨어져 이 나라와 인접한 콜롬비아 국경지대에서는 베네수엘라 화폐로 공예품을 만들어 파는 상인도 등장했다. 베네수엘라에서 일어나는 인플레 폐해는 거의 구제불능 상태다.

인플레이션은 통화량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다. 물가가 오르니 돈 가치가 떨어져 수출이 잘 안된다. 경제 악순환이 이어진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률이 통제를 벗어난 상태로 수백%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베네수엘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1980년대 남미 국가들에서 볼 수 있었던 일이다. 표퓰리즘의 근원지 남미 국가들은 국가재정을 방만하게 운용하는 바람에 아직도 경제난에 허덕이는 곳이 많다. 베네수엘라는 세계 5대 산유국이지만 체베스 대통령의 포퓰리즘으로 현재는 하루 소득 2달러가 안되는 극빈층이 70%를 넘는다.

미국, 중국의 소비자 물가가 수십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럽과 남미, 아시아국가도 비슷한 양상이라 한다. 해외 언론은 “물가 폭등으로 올 겨울 굶어 죽는 사람이 급등할 것”이란 소식을 전한다. 국내 소비자 물가상승세도 심상찮다. 일각에선 인플레까지 염려한다. 이런 참에 정치권에서는 표심을 잡겠다고 돈 풀기에 여념이 없다고 한다. 한심한 일이다.

/우정구(논설위원)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