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탄핵책임론 `직격탄`<br>與 인사 바른정당 대거 입당<br>국민의당과 연계 거론도<br>조기대선 앞둬 추이 `촉각`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대구와 경북의 정계개편론이 군불을 지피고 있다. 여당이었던 자유한국당이 `탄핵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데다, 최경환(경산)·조원진(대구 달서병) 의원 등이 존재하는 대구·경북은 `친박본산`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3면> 대구와 경북이 자유한국당에서 차지하는 위치도 이를 방증한다. 대구·경북의 자유한국당 소속 국회의원은 모두 21명이다. 한국당 지역구 국회의원 77명의 27.3%에 달하는 숫자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종인 전 대표가 `반문 빅텐트`를 주장하며 접촉하는 인물들에 친박계 인사들이 모두 제외되어 있다. 정가에서는 공공연하게 “친박계를 제외한 빅텐트”를 제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역 정가에서는 자유한국당 인사들의 바른정당으로의 이동 등이 조심스럽게 등장하고 있다. 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합당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친박계 인사들은 포함되지 않는다.
지역에서는 권영진 대구시장을 비롯해 강석호·김상훈 의원 등 비박계 의원들의 바른정당행이 거론되고 있다. 바른정당 내 유승민·주호영 의원 등이 지역 의원들에 대해 꾸준히 러브콜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이미 여의도 등 중앙 정가에서는 `탄핵 기각 탄원서`에 서명한 국회의원 60명을 제외한 30여 명의 바른정당 입당이 거론되고 있다.
국민의당 입당도 대안으로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은 `탄핵 심판 책임론`에서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또 국민의당이 추구하는 `중도보수`도 대구와 경북에서 어색하지 않다는 점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 한국당 강석호 의원은 “헌법기관의 결정은 무조건 승복해야 한다”면서 “대구와 경북은 대통합을 해야 한다. 맹목적인 강성친박이 대통령에 대한 보좌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불통에 빠진 것이 아니냐”고 언급했다. 박명재 의원은 “국민의당과 한국당, 바른정당 등이 모두 모일 수 있다. 그렇게 보면 된다”면서 “TK가 구심점이 없다. 최경환 의원도 그렇고, 김관용 지사도 아니다. 전국적 영향력이 있는 인물이 아니다”고 했다.
TK 친박계를 중심으로 `미니 자유한국당`을 지키거나, 신생 정당을 창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이 삼성동 사저에서 머물다 고향인 대구나 구미로 내려올 경우에는 자유한국당 내 친박·진박 의원들이 다시 뭉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예측이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헌재의 사상 초유 현직 대통령 탄핵인용이라는 사건이 발생했고 조기 대선이라는 거대한 정치적 물줄기가 있는 만큼 대구·경북지역의 정계개편은 불가피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대구경북 정치권의 한결같은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