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시내버스 파업 이틀째...애꿎은 시민들만 '봉'

장영훈기자
등록일 2004-05-27 21:00 게재일 2004-05-27
스크랩버튼
대구시내버스 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대구시의 대응책이 부재,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26일 현재 버스조합측과 노조측은 파업 이틀째를 맞았으나 단 한차례 대표회의만 형식적으로 가졌을 뿐 구체적인 협상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으며 노사양측의 강경한 입장만 재차 확인했을 뿐 협상의 돌파구를 전혀 찾지 못하고 있다.

시내버스 노사는 ‘대구시의 준공영제 도입’약속에는 대체적으로 동의를 하고 있으나 노조측이 준공영제 도입을 전제로 한 ‘기준임금 평균 10%인상 요구’를 거듭 주장하고 있다.

버스조합측도 대책회의를 거쳐 협상의사를 밝힌 바 있지만 노조측 임금동결을 고수할 경우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이날 협상전망도 매우 불투명한 상태다.

대구시는 25일 파업에 참가하지 않은 3개 회사 시내버스 186대를 포함해 전세버스와 관용차 400대, 시외버스 207대, 마을버스 31대 등 총 824대를 노선별로 투입, 비상수송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번 파업에 대한 대구시의 중재능력 부재로 파업 장기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민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대학생 이모씨(22)는 “임시버스로 투입된 작은 관광버스를 타고 칠곡 대구보건대에서 시내까지 왔는데 1천300원을 냈다” 며 “가뭄에 콩나듯 운행되는 콩나물 시루같은 임시버스 요금도 시내버스보다 300원을 더 받고 있어 파업협상력 부재상태인 대구시가 오히려 시민을 ‘봉’ 취급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시는 노사양측이 주장하는 준공영제 도입과 관련, 시와 사용자가 요금을 부담하는 환승요금 무료제도와 시내버스 전용차선 확대 등 시행 가능한 준공영제는 되도록 조속히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인금인상을 주장하는 노조측의 요구와 적자운행을 면치 못하고 있어 시비를 지원토록 해 달라는 버스조합측의 요구는 과감히 거부할 방침이어서 시내버스 협상재개 전망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장영훈기자 yhjang@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