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정치권 상황 녹록찮아<br/>새 원내대표 선거 극심한 인물난<br/>중도 외연 위한 2선 후퇴론까지<br/>보수 본산 자존심 지켜야 반론도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압승한 가운데 대구·경북 정치권은 시험대에 올랐다. 내년 대선 국면에서 보수 본산으로서 당의 중심에 설지, 변방으로 밀려날 지 주목된다.
지난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180석을 확보했을 때도, 대구·경북은 국민의힘을 선택했다. 대구·경북 25곳 중 24곳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됐고, 무소속 홍준표(대구 수성을) 의원도 국민의힘을 탈당한 뒤 승리했다는 점에서 사실상 보수 정당이 싹쓸이할 수 있도록 몰표를 줬다. 나아가 보수의 본산인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국민의힘을 재건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주호영(대구 수성갑) 의원이 21대 첫 원내대표로 당선됐다.
‘김종인-주호영’ 투톱 체제 하에 중도로의 외연 확장에 나서면서 호남출신의 수도권 표심을 끌어안았고, 기본소득 등 복지 이슈에 대한 노선 전향으로 보수정당의 이미지를 바꿨다. 또 ‘미니 대선’으로 불리는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대구·경북 정치권이 측면 지원에서 나섰고, 승리라는 결과물을 이끌어내는 등 중심을 잡았다.
그러나 재보궐 선거 이후, 대구·경북 정치권의 상황은 녹록치 않다. 새로운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할 변변한 인물조차 없는 등 극심한 인물난을 겪고 있다. 중진의원들이 지난 공천에서 배제된 것이 큰 원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중도 외연 확장을 위해 ‘대구·경북 2선 후퇴론’도 재등장하는 양상이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정권교체를 위해 대구·경북이 뒤로 물러서 달라는 요구가 있다. 일부 지역의원들도 대구·경북 2선 후퇴론에 동의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역구 의원 83명 가운데 23명, 당원 320만 명 가운데 50만 명을 가지고 있는 만큼, 대구·경북 자존심을 지켜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이와 관련, 지역의 한 의원은 “대구·경북 지역의 당원이 가장 많다 보니 차기 당권주자들도 주 원내대표의 거취에 관심이 쏠려 있다”며 “주 원내대표가 당권에 나서게 된다면 출마를 검토했던 의원들도 불출마 쪽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 밝혔다.
/박형남기자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