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부담을 호소하던 대구지역 초등학교 돌봄 전담사의 사망사건을 계기로 맞벌이 가정의 등교전후 아이돌봄 문제가 사회적인 쟁점이 되고 있다. 초등학교 돌봄교실은 학교내에 마련된 별도교실에서 각 시·도교육청이 채용한 돌봄 전담사들이 방과후부터 아이들을 돌봐주는 제도다. 돌봄 전담사들은 교육기능을 갖춘 전문인이며, 방과 후 오후 5시까지 아이들을 맡아 보육과 함께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구지역에서는 현재 초등돌봄교실 1실당 학생 수 20명 내외(최대 25명)로 편성돼 돌봄 전담사와 특기적성프로그램 강사가 2실을 같이 운영한다. 한 교실에서는 돌봄 전담사 지도로 놀이, 독서와 같은 개인 활동을 하고, 다른 한 교실에서는 특기적성프로그램 강사가 음악, 미술, 창의수학, 신체활동 등 특기적성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부분 초등학교의 경우 돌봄교실 수요학생들이 많아 신청자격을 1~2학년생으로 제한하고, 추첨을 통해 대상자를 결정한다. 교실 운영시간은 오후 5시까지다. 이로 인해 3학년 이후 아이들은 돌봄대상에서 아예 제외되며, 운영시간도 짧아 맞벌이 학부모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출산율이 세계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는 점을 감안하면, 등교전후의 아이들 보육문제는 교육당국에만 맡겨둘 것이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 부분에서는 경기도의 보육정책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는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맞벌이부모의 아이보육 고민이 커지자 다양한 제도를 선보이고 있다. 지자체 주도로 부모가 퇴근하는 시간(오후7시)까지 운영하는 돌봄센터를 여러 곳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출근 전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애를 먹는 가정을 위해 학교도서관 등을 이용, ‘아침시간(7시30분부터 9시까지) 틈새돌봄교실’도 새롭게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출산율이 갈수록 떨어지는 이유 중의 하나는 맞벌이 부모들이 출퇴근 시간 전후 아이를 맡겨둘 곳이 없다는 점도 포함된다. 등교전후 아이들의 보육문제는 예산·보육관련 정부부처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광역·기초자치단체, 지방의회, 교육청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개선책을 찾아야 대안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