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의호 포스텍 명예교수·산업경영공학
서의호 포스텍 명예교수·산업경영공학

코로나 백신!

미국을 시발점으로 전 세계에서 코로나 백신접종이 시작되었다. 그런데 걱정스러운 뉴스가 들린다. 백신접종을 시작한 미국에서 50대 남성 의사가 화이자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을 맞고 16일 만에 사망해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고 한다. 한국도 곧 백신접종을 시작한다고 하는데 공포가 아닐 수 없다.

뉴욕타임스는 플로리다주의 산부인과 의사 그레고리 마이클 교수가 지난해 12월 화이자 백신을 맞고 2주 만인 지난 1월 3일 뇌출혈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그의 부인은 “남편은 기저 질환이 없었고 건강하고 활동적인 사람이었다”며 “이전에는 다른 약물이나 백신에 반응을 보인 적 없으며, 코로나가 유행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마스크를 쓰며 가족과 환자들을 보호했다”고 전했다. 화이자는 성명을 내고 백신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백신에 대한 공포는 가시지 않고 있다. 미국인들의 50% 가까이 백신접종을 거부한다는 보도도 있고 흑인, 라틴계 등 유색인종일 경우 더 불신이 심한 상황이라고 한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공포에 이어 백신 공포가 잇고 있다.

필자의 친구들도 백신을 맞겠다는 숫자가 반정도 밖에 안되니 백신에 대한 불신은 도를 넘는 듯 하다.

여기서 확률과 공포감의 관계를 설명하는 확률게임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확률게임의 대표적인 예는 항공기 사고에 대한 공포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항공기 추락사고에 대한 공포 때문에 항공기를 타지 못하는 고공공포증 환자는 꽤 많다.

항공사고의 경우 확률은 작지만 사고가 났을 경우 거의 전원이 사망하므로 공포가 훨씬 크다. 사고의 확률은 적지만 사람이 느끼는 공포는 매우 큰 것이다. 현재 백신에 대한 공포도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다. 확률은 낮아도 치명적일 수 있다는 공포가 있는 것이다. 코로나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대만과 같은 정부에 비하여 한국 정부가 초기 코로나 대응 실패가 백신에 대한 불신에 한몫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도 지나친 백신에 대한 지나친 공포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확률게임에서 보듯이 각자의 공포지수의 문제일 뿐이다.

우리는 매일을 확률게임을 하고 있다. 교통사고, 낙상사고 등 낮은 확률이라도 사고는 항상 있을 수 있고 그것이 치명적일 수도 있지만 우리가 그것을 과도하게 걱정하지 않고 살듯이 백신접종의 문제도 그렇게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화이자는 성명을 통해 “이번 사건을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백신 접종과 사망 간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또 “임상시험과 실제 백신 접종 과정에서 이번 사례와 관련된 안정성 문제는 없었다”고 했다. 백신접종에 대한 지나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다. 이번 코로나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