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룡 서예가
강희룡 서예가

사냥꾼은 좋은 사냥개를 얻으려 하고 말 타는 사람은 좋은 말만 얻으려 하지 그것이 어떤 새끼를 낳을 것인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정치에 있어서도 위정자의 인물 됨됨이가 중요한 것이지 문벌은 그리 중요치 않다. 공자가 위나라 영공의 무도함을 힐난하자 강자가 물었다. ‘그러한데 그 나라는 어찌 망하지 않았습니까?’ 이에 공자가 답했다. ‘중숙어가 외교를 맡고, 축타가 종묘를 다스리고, 왕손가가 군사를 맡아 다스리니 어찌 망하리오!’ 이렇듯 비록 왕의 됨됨이가 비루하더라도 훌륭한 신하들이 그 임금을 보좌해 백성을 위해 국정을 돌본다면 그 나라는 굳건히 영속할 것임을 공자 또한 알고 있었다.

기원전 770년부터 진시황이 전국을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 춘추전국시대는 약 550년에 달하는 기간이다. 이 시기는 각자 지역에 근거한 집단이 자신들의 신념에 따라 문화적 풍토를 배경으로 나라를 세우고 왕을 세워 맹주를 다투던 시기였다. 주 왕조의 일방적인 천하지배 구조는 무너지고 지방정권들이 역사적, 지리적 환경에 근거해 자립하면서 초기에는 온건하게 연합과 합병을 거듭하다 재화와 자원, 인재와 기술을 두고 싸움이 시작되면서 철기의 출현은 치열한 경쟁을 더욱 부추겼다. 정치중심의 다극화는 사회불안을 초래했지만, 동시에 가치의 다양화를 낳았고, 대륙에는 옛 체제와 가치관의 붕괴가 진행되는 가운데 유례없는 창조가 태어나게 된다.

국가와 정치, 산업과 인간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시대적 분위기가 키워낸 사상가와 명신들이 나타났으니, 이들이 바로 유가, 법가, 도가, 묵가, 병가 등으로 불리는 제자백가(諸子百家)들이다. 그들은 자신만의 학설을 내세워 문하생을 교육시키고 각국을 떠돌며 자신의 주장을 실제 정치에 반영시키려 했다.

병가(兵家)의 손무, 완벽(完璧)의 인상여 등 그 이름 하나만으로도 대륙역사의 한 대목을 대변할 수 있을 정도의 수많은 현자들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또한 옛 시대의 사상과 학문을 배우며 과거를 토대로 현재의 자신을 반성하며 교훈을 얻고 있다. 치열한 삶을 살았던 고대인들의 주옥같은 일화와 교훈은 수천 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오늘은 물론 미래에서도 여전히 금과옥조 같이 여겨질 것이다. 초나라 사람 화씨가 다듬지 않은 옥돌을 구해 두 번이나 왕에게 바쳤을 때 옥을 감정하는 관리가 돌이라 결론짓자 왕을 속인 죄로 두 발이 차례로 잘려나갔다. 세 번째 왕이 즉위하자 화씨는 옥돌을 안고 궁문 앞에서 사흘 밤낮을 슬피 울었다.

소문을 들은 왕이 이유를 묻자 화씨는 ‘보옥을 돌이라 하고 곧은 선비를 속임수 쓰는 자로 몰아 마구 베는 것이 슬프다’고 했다. 이 말을 듣고 왕이 화씨의 돌을 쪼개고 다듬으니 마침내 천하제일의 옥이 드러나자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했다. ‘한비자, 변화편(韓非子,卞和篇)’에 보인다. 화씨는 두 발꿈치를 잃고서야 다듬지 않은 돌을 천하의 옥으로 인정받았다. 지금 우리사회가 절차에 따라 돌을 쪼개 옥을 다듬는 것은 외면한 채 사람 다리 자르는 것은 쉽게 여기지 않는지 깊이 성찰해볼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