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고교 시절 내 마음을 움푹 패게 한 구절이 있다. “만상의 본질은 부패에 있다.” 팍스 로마나를 구현한 5현제 가운데 한 사람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21∼180)의 말이다. ‘페이터의 산문’이란 제목으로 국어책에 실린 이양하 선생의 글에 나오는 구절이다. 지극한 권력을 누렸으나, 세상만사 덧없음과 금욕주의를 설파한 아우렐리우스. 그가 만상에 담긴 허망과 사멸의 본질을 논하면서 구체화한 어휘가 ‘부패’다. 부패는 생로병사의 순환을 만들어내는 자연의 방편(方便)이다. 부패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자연계의 사멸과 생성은 불가능하다. 백골이 진토(塵土) 되는 일이 없어, 시신이 세상을 하염없이 떠돌게 될 것이다. 그것은 생명 탄생을 헤살 놓거나, 원천 봉쇄할 수도 있다. 그런 까닭에 세상에 현현(顯現)한 모든 것이 짧은 시간에 퇴락하여 부패로 귀결됨을 지적한 황제의 말은 정곡을 찌른다.

우리는 영생불사의 존재로 자신을 사유한다. 나에게는 죽음이나 소멸이 닥치지 않으리라는 미망(迷妄)을 안고 살아간다. 그래서 치열하고 당당하며 아등바등 이를 악문다. 한 걸음 물러서면 벼랑 끝이라는 생각에 하나같이 앙앙불락(怏怏不樂)이다. 거기서 온갖 소음과 원망과 아귀다툼과 갈등과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발원한다.

유발 하라리가 지적한 것처럼 ‘호모 데우스’가 창궐하는 21세기다. 사멸할 운명의 호모사피엔스가 종언을 고하고, 영생불사하는 ‘데우스’로 인간이 탈바꿈하리라는 불길한 예언. 분명코 인간은 ‘길가메시 프로젝트’로 500세 인생의 도전에 성공할 것이다. 불멸하는 신의 반열에 오르는 인간의 삶이 얼마나 의미 있고 행복할 것인지는 다른 문제다. 하지만 부패하지 않는, 변하지 않는, 언제나 똑같은 인간이란 얼마나 큰 재앙일 것인가?!

‘세상을 바꾸는 문필가’로 평생을 살고자 했던 패기만만한 시절이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깨달은 점은 내가 언제나 옳은 것도, 진실한 것도, 선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너무도 많은 허점과 오류, 극복 불가능한 탐욕과 분노 그리고 어리석음으로 점철된 삶을 돌이키면서 그런 미망을 던져버렸다. 이제는 분명히 알게 된 사실이 있다. 세상을 바꾸려면, 사람을 변화시켜야 하는데, 사람은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 외려 내가 먼저 바뀌어야 한다는 자명한 이치. 사람을 잃고 나서, 관계가 파탄 나고 나서야 비로소 깨우치게 된 명징한 사실이 그것이다. 누구도 타인을 바꿀 수 없다. 타인에게 귀를 기울이고, 그의 표정 하나하나 살피고, 그의 마음을 소중히 여기는 자세가 얼마나 소중한지 너무도 늦게 깨달은 것이다. 잃어야 얻는다는 단순한 이치 하나를 깨닫는 대가(代價)가 자못 컸지만,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사람은 고쳐 쓸 수도, 바꿀 수도 없다.” 아직도 세상을 아름답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려는 사람들이 곳곳에 있다. 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그러하되, 세상은 나름의 법칙으로 돌아간다. 더디고 꾸물거리는 느림보의 법칙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