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준의 장기에 가면 조선왕조 500년이 보인다
7. 이시애의 난에 연좌된 사람들

봉산역터. 장기면 임중리에 있었던 봉산역에는 많은 유배인들이 배속되어 역에 딸린 논밭을 관리했다.

세조가 왕권을 잡은 지 13년이 되는 해였다. 북쪽 변방에서 큰 반란이 일어났다. 전 회령부사 이시애가 절도사 강효문(康孝文)과 그 일행들을 참살하고, 함길도(지금의 함경도) 일대를 장악한 것이다. 이 난은 약 3개월간 지속되었다.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이 한양에서 700여리 떨어진 경상도 장기 땅에도 전해질 무렵, 한 무리의 유배객들이 우르르 이곳으로 몰려왔다. 이 난에 연좌된 사람들이었다. 그 숫자는 무려 십 수 명이나 되었는데, 대부분이 여자와 아이들이었다. 이후에도 잊을만하면 여기에 연좌됐던 사람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또 장기로 왔다.

이시애는 함길도의 토호로 그 지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던 인물이었다. 그의 할아버지 이원경(李原景)은 원래 평안도 출신으로 고려 말기에 원나라의 장수로 있다가, 이성계가 동녕부를 정벌할 때 군사를 거느리고 고려에 항복한 장수였다. 그는 조선 건국 이후에는 삭방도 첨절제사 등을 역임하며 함길도에서 터전을 닦았다. 아버지 이인화(李仁和)도 막강했다. 그는 회령, 경원 등 북방 지역의 절제사, 도호부사 등을 역임하였고, 6진의 개척과 수비에 상당한 공을 세워 세조 즉위 후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책봉되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무관이 된 이시애도 회령·경흥 등에서 벼슬을 지내다가 난을 일으키기 불과 3년 전까지도 회령부사로 있었다.

함길도는 태조 이성계의 고향이었고, 또 김종서의 6진 개척 때 토호들이 공을 세웠기 때문에 다른 지방에 비해 이들의 영향력이 컸다. 또 지리적으로는 여진과 가까워 세종 때는 이 지역 호족들을 우대하여 수령으로 임명하였고, 광범위한 자치권과 특혜를 주면서 백성들의 이주를 장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세조는 달랐다.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한다는 구실로 함길도 출신 수령 임명을 제한하고, 한양출신 수령들로 대체시켰다. 중앙에서 내려간 관리들은 특히 유향소(留鄕所)와 큰 갈등을 빚었다. 유향소란 일종의 지방자치기구였다. 지방의 유지들이 그 지방의 풍속을 바로잡고 관리들의 횡포를 견제하는 기능도 갖고 있었기에, 원초적으로 유향소는 관리들과 마찰이 생길 여지가 있긴 했지만, 특히 함길도는 더했다. 이런 와중에 절도사로 부임 해온 강효문의 비행은 이미 도를 넘어 심각한 수준이었다. 마침 어머니의 상을 당해 고향 길주에 머물고 있었던 이시애는 피가 끓어올랐다.

결국 이시애는 1467년 5월 16일, 이 지역의 유향소 세력과 힘을 합쳐 난을 일으켰다. 이들은 우선 강효문부터 죽이고, ‘남도의 군대가 올라와 함길도 사람을 다 죽인다’라고 선동을 하여 도민들을 끌어들였다. 한편으로는 세조에게 ‘절도사 강효문이 한양의 한명회, 신숙주 등과 결탁하여 함길도의 군사를 끌고 한양으로 올라가려는 역모를 꾸몄다’는 거짓보고를 올려 조정을 혼란에 빠뜨렸다. 실제 이 보고로 세조는 자신의 최측근이었던 한명회와 신숙주를 옥에 가두는 해프닝까지 벌였다. 그 사이 이시애는 함길도 일대의 성을 모두 장악해버렸다.

이시애 난의 진원지 길주 전경. 이시애의 난으로 길주부에서 길주현으로 강등되었다.
이시애 난의 진원지 길주 전경. 이시애의 난으로 길주부에서 길주현으로 강등되었다.

조정에서는 뒤늦게 이시애가 난을 일으켰음을 파악하고,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을 병마도총사로 삼아 토벌군을 편성했다. 이시애는 여진족까지 끌어들여 대항하였으나 3만 관군에는 중과부적이었다. 결국 이시애는 배신한 측근들에게 잡혀 토벌군에게 인계됐고, 토벌군 진지 앞에서 능지처참을 당했다. 이시애의 동생 등 참여한 가족들과 평소 그를 따르던 맹숭인(孟崇仁), 최득경(崔得敬), 함여해(咸汝諧), 박진효(朴盡孝), 최옥동(崔玉同) 등의 측근 장수 수십 명이 모두 참형을 당했다.

세조는 난을 계기로 북도 유향소를 폐지하고 함길도를 좌·우도로 나누어 통치책을 강화하는 동시에, 반란의 근거지가 되었던 길주는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시켰다.

이들과 연좌(緣坐)된 가족들에 대한 처벌은 세조가 죽고 난 다음인 1469년부터 여러 해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좌된 사람이 워낙 많았고, 그중에는 나이가 차지 않은 사람들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장기현에는 1469년 (예종1) 2월 1일부터 1482년(성종13) 2월 5일까지, 무려 13년간에 걸쳐서 16명이 배속되었다. 이시애 첩의 딸 이비(李非)와 조카 이무산(李茂山)을 선두로 맹숭인의 첩 경원화(慶源花)와 딸 거부비(巨夫非), 최득경의 아내 옥금(玉今), 아들 벌응거(伐應巨), 동생 최민경(崔敏敬)과 최빙경(崔氷京), 조카 최여허(崔汝虛)와 최석종(崔石宗)이 그들이다. 맹숭인은 함길도 경원(慶源)에 거주하는 사람으로 겸사복(兼司僕)이라는 관직에 있다가 난에 가담한 사람이었고, 최득경 역시 같은 곳 출신으로 조선의 공신적에 등재된 사람이었으나, 이 난에 참여하였다.

그 외에도 반군의 장수로 활동한 함여해의 아내 막가(莫加). 딸 함석을장(咸石乙莊), 함구부(咸仇夫)가 왔고, 박진효의 아내 월화(月花), 최옥동의 동생 최산(崔山)도 이곳으로 왔다. 이들 중 이비, 이무산, 최산, 함석을장, 함구부, 최여허, 최석종은 아직 어렸기 때문에 부모의 보호가 필요한 나이였음에도 예외 없이 유배의 쓰라린 맛을 봐야 했다.

장기로 온 이들은 역모를 꿈꾼 적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단지 역모자의 가족이었다는 이유로 먼 북방에서 동해 끝 여기까지 온 것이다. 이들이 어떤 대우를 받았는가는 조선 중기에 어숙권(魚叔權)이 지은 ‘패관잡기(稗官雜記)’에 잘 나타나 있다. 홀로 되어 유배 온 여인을 관청의 백정이나 관노들이 온갖 수를 써서 자신들의 아내로 맞이하려 했다는 것이다. 전남 완도군 일대에서 전해오는 ‘처녀풍과 소금비(鹽雨)’에 관한 이야기는, 비록 고금도에 유배된 장현경(張玄慶)의 처와 자녀가 겪어야만 했던 서글픈 가족사지만, 조선시대 대부분 여성 유배인들의 실상이 어떠했는지를 유추할 수 있게 해 준다.

장현경은 여헌 장현광의 후손으로 인동부(지금의 구미·선산·칠곡)에 살았다. 1800년 6월 28일에 정조가 갑자기 승하하고 인산(因山)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였다. 당시 인동부사였던 이갑회(李甲會)는 분위기 파악도 못했는지, 하필 이때 풍악을 울리면서 부친의 생신연을 마련하였다. 이에 분개한 장현경의 아버지 장시경(張時景)은 잔치에 초청을 받았으나, 국상 중에 예의에 어긋난다며 거절하였다. 이갑회는 이에 앙심을 품고 오히려 ‘장시경 형제가 정조 독살설을 유포해서 세력을 모아 서울로 진격, 노론벽파를 제거하려 한다’고 관찰사에게 고변을 했다. 졸지에 역모죄를 뒤집어 쓴 장씨 일가에 대한 대대적인 처벌이 이어졌고, 인동은 10월 도호부에서 현으로 강등되기까지 했다.

여유당전서. 정약용이 지었다. 이 책 ‘다산시문선’에  ‘기고금도장씨녀자사’란 제목으로  장씨 딸에 대한 내막이 적혀 있다.
여유당전서. 정약용이 지었다. 이 책 ‘다산시문선’에 ‘기고금도장씨녀자사’란 제목으로 장씨 딸에 대한 내막이 적혀 있다.

이 사건으로 장현경의 처와 자식들이 1800년 8월에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유배를 온지 9년이 지난 1809년의 일이었다. 이때 큰딸은 스물두 살, 작은 딸은 열네 살, 사내애는 겨우 열 살이 되었다고 한다. 그곳에는 진((鎭)이 있었는데, 하루는 진영의 군졸 한명이 술에 취해서 돌아가다가 울타리 구멍으로 큰딸을 엿보고 유혹하기 시작했다. 큰 딸은 아예 상대도 하지 않았으나, 군졸의 추태 행위는 계속되었다. 군졸은 ‘네가 아무리 거절해봤자 끝내는 내 여자가 될 것’이라며 겁을 줬다. 분을 참지 못한 큰 딸은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다가 곧바로 바닷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소식을 들은 그의 어미도 바다에 투신했다. 이를 보고 둘째 딸도 물에 뛰어들려고 했으나, 어미가 “너는 살아서 관가에 가 이 사실을 알려 원수를 갚고, 또 네 동생을 길러야 한다”며 만류해 죽지는 않았다.

둘째 딸이 섬의 보장(堡將)에게 찾아가 자초지종을 알렸다. 보장은 이 사실을 강진현에 보고했고, 현감 이건식(李健植)이 현장에 나가 검시(檢屍)를 한 후 전라도관찰사에게 수사기록 일체를 넘겼다. 민심이 뒤끓고 분위기가 흉흉해지자 해남 수군사(水軍使) 권탁(權逴)도 나섰다. 관찰사에게 고금도 수장(守將)과 강진현감을 파직시켜야 한다는 장계까지 올렸다. 갑자기 파직 위기에 처한 현감은 아전과 의논하여 비장(裨將 관찰사 수행비서)에게 돈 천 냥을 뇌물로 썼다. 그러자 관찰사가 검안(檢案) 서류 일체를 현에 되돌려주고, 수영(水營)에서 올린 장계도 되돌려보냈다. 현감은 끄떡없이 살아남았고 추행을 했던 군졸과 상관의 죄도 불문에 부쳐졌다. 사건이 사장(死藏)되어 버린 것이다.

그로부터 이 섬에는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다음해 7월 28일, 장씨 처와 큰 딸이 죽은 지 꼭 1년이 되는 기일(忌日)이었다. 큰 바람이 남쪽에서 불어와 모래를 날리고 돌을 굴렸다. 바다에서는 은산(銀山)이나 설악(雪嶽)과도 같은 파도가 일었다. 바람에 파도의 물거품이 공중으로 올라가더니 산꼭대기까지 소금비를 뿌렸다. 염분을 맞은 곡식과 초목들은 모두 말라 죽어 섬 전체가 흉년이 들었다. 이듬해 같은 날도 바람의 재앙이 지난해와 같았다. 바닷가 백성들은 이 바람이 억울하게 죽은 장씨 딸의 원혼(冤魂)이라고 하여 ‘처녀풍(處女風)’이라고 불렀다. 얼마 후 암행어사로 홍대호(洪大浩)란 사람이 내려왔는데, 그도 이 기막힌 사연을 들었지만 역시 묵인하고 가버렸다.

다산 정약용은 이 사실을 강진 다산초당에 있을 때 전해들었다. 하지만 그로서도 어쩔 수가 없었다. 진실을 파헤쳐 탐관오리들을 처벌할 수 있는 힘이 그에게 없었던 것이다. 동병상련이랄까. 그는 조용히 ‘소금비(鹽雨)’란 시문(賦)을 짓고, 그 경위를 ‘고금도 장씨 딸에 대한 기사’란 제목으로 자세하게 남겼다. 그래서 다산 시문집에 그 전말이 전한다.

고금도. 참으로 억울한 일을 당했는데도 해당 관리들이 그 억울함을 풀어주기는커녕 뇌물을 받고 사건을 없애버린 ‘고금도 장씨 여자 사건’의 현장이다.
고금도. 참으로 억울한 일을 당했는데도 해당 관리들이 그 억울함을 풀어주기는커녕 뇌물을 받고 사건을 없애버린 ‘고금도 장씨 여자 사건’의 현장이다.

다산은 이후 여성 유배인들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목민심서’에도 여성 유배인들에 대한 처우를 거론하고 있다. 유배지에서 이루어지는 점고(點考)가 문제였다. 유배인들은 달마다 두 번씩 삭망점고(朔望點考)를 받아야만 했다.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수령에게 가서 점검을 받았던 것이다. 이외에 수시로 받는 별점고(別點考)도 있었다. 질이 좋지 않은 수령은 이런 점고를 빙자해서 딴 마음을 품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를 안 다산은 ‘여성 유배자의 거주지에는 남자들의 출입을 금하며, 여성 유배인이 점고를 받을 때는 얼굴을 가리고 관아에 들어오게 하고, 수령은 문을 닫아걸고 여자를 쳐다보지 말아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심문을 마친 뒤에는 관비를 시켜서 집에 호송하게 하고, 남자들이 주위에 얼씬거리지 못하게 하여, 여성들이 부당한 처우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그러나 그 전도 그 이후도 다산의 이와 같은 권고가 받아들여진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시애의 난에 연좌되어 역적의 굴레를 쓰고 이곳에 온 여성들이 어디서 머물렀는지는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이들이 ‘고금도 장씨 딸’의 경우처럼 얼마나 많은 유린과 능욕을 당했을지는 보지 않아도 알 일이다. 신창 바닷가에서 밀려오는 성난 파돗소리와, 양포항에서 성황당고개를 넘어오는 남쪽 바람이, 당시에 겪었던 이들의 서러움과 막막함을 전하고 있는 것 같아 마음이 쓰릴 뿐이다. /이상준 향토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