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성격·정치 스타일 등
강점 내세운 `별명`홍보 대세
안철수=강철수·김무성=무대
朴대통령 `수첩공주`로 불려

`이정현=무수저`, `추미애=추다르크`, `김종인=경제할배`, `문재인=노무현 그림자`

여야 정치인들에게 붙여진 별명이다. 과거 YS(김영삼)·DJ(김대중)·JP(김종필)로 불리며 `이니셜 정치`가 대세였다면 이제는 정치인들의 별명이 따라 붙는 게 대세다. 자신의 외모·성격·정치 스타일을 잘 표현해준다는 이유에서다.

`무수저` 이정현 - 호남출신으로 보수정당 당직자에 당선, 서민이미지 부각
`추다르크` 추미애 - `추미애+잔다르크` 합성어로 원칙과 소신의 정치인이란 뜻 담겨
`경제할배` 김종인 - 경제민주화와 77세라는 점이 합쳐진 뜻으로 불리게 돼
`노무현 그림자` 문재인 -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실장직 인연으로 지어져

전당대회나 총선·대선 등이 다가오면서 이런 분위기는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수첩공주`라는 별명으로 홍보효과를 제대로 누렸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도 이번 전당대회에서 자신의 `별명`효과를 톡톡히 봤다.

실제 전당대회 때 이 대표는 “저는 금수저도 흙수저도 아니고, 무수저로 여기까지 왔다”고 언급했고, 추 대표는 “1997년 `추다르크`가 되어서 지역감정에 맞서 김대중 대통령을 당선시키기 위해 뛰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해서 `무수저, 추다르크`라는 별명을 얻었을까. 이 대표는 호남 출신으로 영남 출신 일색인 보수 정당의 당직자로부터 17단계나 올라왔던 만큼 스스로 `무수저`라고 말한다. 이로 인해 서민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효과를 누리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추 대표는 추미애와 잔다르크의 합성어로 원칙과 소신의 정치인이란 뜻이 담겨져 있다. 1997년 대선에서 당시 고향인 대구에서 지역감정에 맞서 김대중 전 대통령 유세단장을 맡아 활약한 덕분이다.

대권후보들 역시 `별명`이 있다. 반기문 UN사무총장은 `기름장어`라고 불린다. 더불어민주당 문희상 의원은 “청와대에서 일할 때 외교보좌관으로 있던 반 총장이 한번도 흠을 잡히지 않아 내가 붙여줬다”고 말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실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노무현 그림자`로 통한다. 문 전 대표 스스로도 가장 마음에 드는 별명이라고 말할 정도다.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는 `무대(무성대장)`라 불린다. 형님정치의 리더십을 함축한 의미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20대 총선 당시 더민주와 국민의당 합당 가능성이 언급될 때 이를 반대하며, 국민의당을 제3당으로 이끌어내면서 `강철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외에 더민주 김종인 대표는 경제민주화와 77세라는 점이 합쳐져 `경제할배`로 통한다.

또 20대 총선 당시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은 뛰어난 미모를 뽐냈던 막내딸 유담씨로 인해 `국민장인`이란 별칭을 얻기도 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