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상반기 사업대상자 선정 기존 묘목 굴취·과원 복구 등 지원
정부가 산불피해 과수농가의 사과 묘묙 갱신 등 과원 조기 복구를 지원한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4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센터(이하 사과연구센터), 지자체, 한국과수농협연합회(이하 연합회) 등과 함께 의성, 군위 지역을 방문해 과수 생육현황 및 산불 피해 상황 등을 확인하고 과원 조기 복구를 위한 지원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산불 피해 과수 농가가 영농을 빨리 재개할 수 있도록 과원 재조성을 희망하는 농가를 최우선 지원하고, 공동출하 실적이 없어도 지원할 수 있도록 선정요건 완화 등 관련 사업시행지침을 개정했다. 또 기존 묘목 굴취, 토양 개량 등 과원 복구 지원이 시급한 부분은 올 상반기 안에 조속 지원할 수 있도록 지자체를 통한 수요 조사 등 지원 절차에 착수했다.
한편, 산불 피해 면적 중 사과 묘목 갱신이 필요한 직접 피해 면적은 473ha(전체 사과 재배면적의 1.4%,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 4월 18일 기준) 수준이며, 그을림 등으로 인한 간접 피해는 피해정도에 따라 생육관리를 통해 피해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산불 피해가 사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있다. 산불 피해 이외 지역의 사과 생육단계는 현재 꽃이 피는 개화기로 저온 피해없이 순조롭게 생육이 진행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사과연구센터 이동혁 소장은 “올해 안정적인 사과 수확을 위해 산불피해 이외 지역의 사과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착과량 10% 증대, 토양수분 관리 등 현장기술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연합회 박연순 전무는 “과수 묘목 생산시설을 확대해 산불 피해 농가가 필요로 하는 무병 우량묘를 최우선 공급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사과 생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육관리협의체를 중심으로 생육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재해 우려지역을 중심으로 이상기상 대응을 위한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서비스 제공, 농가 기술지도 강화 등을 통해 생육 위험 요소를 빈틈없이 관리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