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군부대’보다 넓은 ‘사격장’부지 요구…대구 군부대 이전 유치 지역 주민들 ‘반발’

박호평기자
등록일 2024-08-08 07:31 게재일 2024-08-09 1면
스크랩버튼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에 찬물<br/>칠곡·상주·영천·의성·군위 등<br/>일방적 국방부 통보 받고 당황
송필각(전 경상북도의회 의장) 대구 군부대 유치추진위원장이 지난 7일 푯말을 들고 공용화기 사격장 정보를 공개한 대구시와 국방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 칠곡군 제공
송필각(전 경상북도의회 의장) 대구 군부대 유치추진위원장이 지난 7일 푯말을 들고 공용화기 사격장 정보를 공개한 대구시와 국방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 칠곡군 제공

대구시와 국방부가 ‘대구 군부대 통합 이전사업’유치전에 뛰어든 지자체에게 군부대 면적보다 넓은 ‘공용화기 사격장’부지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치전에 뛰어든 지자체는 대구 군위군을 비롯해 경북 상주와 영천, 의성, 칠곡 등 총 5개 지역이다.

당초 대구 군부대 유치 지역에는 해마다 4600억원이 넘는 생산 유발 효과와 일자리 4000개 이상이 예상되면서, 인구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침체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기대됐다.

하지만, 주민 민원이 예상되는 1043만㎡(315만평) 규모의 공용화기 사격장이 대구 군부대와 함께 이전하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뒤늦게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사전에 별도의 이야기도 없다가 지난달 15일 박격포 등의 공용화기 사격장 후보지를 2주 만에 제출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유치전에 뛰어든 5개 지차체는 이전하는 군부대보다 규모가 큰 공용화기 사격장 요구에 당황하는 눈치다. 이전하는 군부대 부지 규모는 854만㎡(259만평)인 반면 공용화기 사격장은 1043만㎡(315만평)이다.

더욱이 대구시가 군부대를 이전하더라도 군 관사 가운데 30%를 수성구에 남겨 둘 계획임을 밝혀 군부대 이전으로 인해 인구 증가와 경제 파급 효과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이 공개되자 군부대 유치를 추진해 왔던 경북 칠곡군의 민간단체가 가장 먼저 반발하고 나섰다.

칠곡군 대구 군부대 유치추진위원회는 대구시와 국방부를 비판하며 급작스러운 계획 변경에 따른 공식적인 사과와 진행 과정의 투명한 공개를 요구했다.

송필각(전 경상북도의회 의장) 칠곡군 대구 군부대 유치추진위원장은 “공용화기 사격장과 같은 중대한 문제는 사업 초기에 공지해야 지자체와 주민들이 정확하게 판단하고 유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국방부 작전성 검토 발표를 두 달 앞두고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이유는 유치를 포기시키려는 꼼수이자 갑질”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업 초기부터 국방부와 협의 없이 군부대 이전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대구시와 이번 기회에 사격장을 마련하려는 국방부의 이기주의가 만들어낸 결과”라며 “앞으로 지자체와 주민들이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군부대 이전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군부대 유치에 있어 군민의 의견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이라며 “인구 증가 등의 편익은 물론 공용화기 사격장과 같은 비용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등 군부대 이전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2022년부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 등 4개 군부대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밀리터리 타운’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국방부는 오는 9월 임무 수행 가능성과 정주 환경을 평가해 예비 후보지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구시는 수용성과 사업성을 평가해 올 연말까지 최종 후보지를 발표할 계획이다.

/박호평기자 php1111@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