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시는 작가 54명의 작품 61점을 시대별 5개의 키워드 ‘계승, 수용, 혁신, 자립, 융합’으로 구성했다.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화가의 작품이 걸렸다니 늦기 전에 먼 거리라도 단숨에 달려갔다.
구미를 여러 번 갔지만 문화예술회관은 처음 방문했다. 주차장을 찾으러 주변을 한 바퀴 돌며 붉은 건물의 앞뒤 풍광을 다 보았다. 포스가 남달랐다. 앉은 폼이 벌써 예술을 담았다고 온몸으로 뿜어내고 있었다. 누가 지은 것일까 검색해보니 김수근 건축가의 유작이었다.
주변 건물들에 가려져 있지만 문화예술회관은 눈길을 끄는 붉은 벽돌의 성처럼 단연 돋보인다. 1989년 완성된 이 건물은 지방 도시 최초의 문화예술회관으로 기록되었다. 타 도시보다 먼저 건립된 것은 그 당시 전자산업도시로서 도시가 빨리 성장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예술회관 건물은 장중한 화강석 외장의 건물인데 구미문화예술회관은 오래된 유럽의 성당 같은 분위기다. 공연장 로비 홀 벽면에는 설계 당시 건축가의 콘셉트 스케치가 남아 있다.
김환기의 ‘월광’, 노수현의 ‘송하관월도’, 박수근의 ‘복숭아’, 이중섭의 ‘꽃과 노란 어린이’, 장욱진의 ‘나무가 있는 풍경’, 천경자의 ‘전설’, 이숙자의 ‘청맥’, 배찬효의 ‘의상 속 존재-신데렐라’등 주옥같은 명작들을 전시했다.
61점의 작품이 모두 눈길을 끌지만, 그중에 더 시선을 사로잡은 작품은 이응노의 ‘등나무’였다. 그의 30대 후반 작품으로 등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대문을 통해 들여다본 한옥의 한 장면이다. 한때는 살림 규모가 제법 컸을 것 같은 기와집에 할머니가 어린 두 손자를 돌보고 있다. 그런데 그 모습이 낡은 집에는 어울리지 않게 비현실적으로 화사하게 핀 등꽃과 어울려 가슴이 싸하다. 낡은 대문에 붙은 태평양전쟁 포스터가 아픈 시절을 대신 전해주는 듯하다. 4월이면 초등학교 운동장마다 보랏빛 등꽃이 피어 향기를 흩뿌리고 바람에 홀연히 낙화하여 바닥을 또 물들인다. 등꽃이 마르기 전 전쟁에 나간 아버지가 돌아오길 기도하게 하는 그림이다.
또 하나의 작품은 이종구의 ‘명환 아저씨’다. 그림 설명이 궁금해 가까이 가 읽어보니 1987년에 부대 비닐에 유채로 그렸다고 한다. 농부의 주름진 얼굴과 한껏 차려입고 장에 가는 길에 만난 모습, 가슴 부분에 초록색으로 ‘찐 눌린 밀쌀’이라고 상표명이 선명하다. ‘찐 눌린’이라는 글자가 고단한 농부의 삶을 고스란히 담아낸 것 같아서 한동안 그림 앞에 서 있었다.
그 외에도 2021년에 작고한 김창렬 화가의 물방울 그림도 보고 2층으로 올라가면 체험 공간을 마련해놨다. 주의 깊게 살펴보기란 제목의 안내장을 펼치고 책상에 앉아 미리 놓아둔 그림 도구로 이종우의 ‘응시’를 보고 느껴진 감정이 무엇인지 낱말을 찾아보았다. 그 아래 박수근의 ‘복숭아’의 화면에 돌의 거친 질감을 느껴보고, 이대원의 ‘농원’은 색색의 점에서 색깔을 찾아내는 경험도 했다.
이 모든 전시는 무료로 입장할 수 있으며, 전시해설 프로그램은 매일 오전 11시와 오후 3시에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김순희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