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카카오 먹통… 국민메신저로서 책임감 느껴야

등록일 2022-10-17 18:49 게재일 2022-10-18 19면
스크랩버튼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가 지난 15일 데이터센터의 화재로 먹통되면서 전국민적 불편을 초래했다. 특히 이 문제가 초연결사회에 있어 통신망 마비가 국가와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일깨운 사고란 점에서 범국가적 교훈도 적지 않다.

이번 사태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디지털 부가 서비스 중단으로 우리 국민께서 겪고 계신 불편과 피해에 대해 매우 무겁게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또 대통령실도 “네트워크망 교란은 민생에 상당한 지장을 주고 유사시 국가안보에도 치명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사태의 엄중함과 기업의 책무를 강조했다. 이번 사태를 매우 심각하게 본다는 뜻이다.


시민의 단순문자 메시지는 물론 금융, 교통, 쇼핑 등에 이르기까지 카카오 연결망이 교란되면서 지난 주말은 한국인의 일상이 멈춰 선 하루였다. 일상의 불편도 문제였지만 연관 서비스로 영업과 거래를 하는 이용자의 경제적 피해도 막중했다. 이에 대한 사후 대책도 별도 강구돼야 함은 물론이다.


문제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서 드러난 카카오 측의 미흡한 대응체제다. 카카오는 “사고가 난 서버에 전력 공급이 안될 정도로 불이 날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IT 전문가들은 “실시간 데이터 백업 체계와 재난 장애 대응이 미비한 탓”으로 지적한다.


카카오는 월간 사용자가 무려 4천750만명에 이르는 사실상 국민 메신저 역할을 한다. 카카오톡과 더불어 카카오페이, 카카오T, 카카오맵 등 카카오 가입자를 기반으로 그동안 카카오는 사업 부분을 계속 확장해 몸집도 커졌다. 그러나 이용자 증가에도 카카오가 이용자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는 소홀히 했다. 이런 지적을 카카오는 외면해선 안 된다.


IT 강국임을 자처하는 우리나라로서도 부끄러운 일이 벌어진 셈이다. 이번 사태에 대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에 당국의 엄중한 조사가 있어야 한다. 카카오도 공적 국민 메신저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서비스 향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재발 사태가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