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국 포항시의원 시정질문 이강덕 시장 “아직은 시기상조”
지난해 국제여객부두 완공으로 물류와 관광 모두를 손에 쥔 포항시가 국제항만도시라는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경북도와 합심해 항만 정책을 종합적으로 다져나가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포항시의회 안병국(중앙·죽도동) 의원은 10일 제281회 포항시의회 ‘시정에 관한 질문(시정질문)’을 통해 포항시의 항만 운영 정책에 대해 질의했다. 안 의원은 제3차 국가항만기본계획에 따라 영일만항에 포항 구항과 신항이 통합되고 포항항으로 재편성됨과 동시에 국제여객터미널이 추가될 예정이라며, 이와 연계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가장 먼저 안 의원은 전 세계의 선사 및 화주들에게 영일만항 인지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홍보 예산을 대폭 확대하는 등 공격적인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지역에 비해 철강자재의 수급량이 많은 포항지역의 특성을 감안했을 때, 벌크화물(원료 그대로 옮기는 화물)의 컨테이너화를 시작으로 컨테이너 제작 산업을 유치, 지역 내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다고도 했다.
안 의원은 또 포항항을 중심으로 중앙 및 지방정부, 민간사업자간의 이해(利害) 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포항종합물류협의회’ 구성 및 포항항만공사 설립 등을 현 시점에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포항시는 항만공사 설립의 취지나 필요성 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답변자로 나선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난 2019년 포항항만물류공사 설립추진에 관한 경제성 분석 용역을 실시했으며, 용역 결과 장기적 과제로 제시된 바 있다”면서도 “국가 관리항 14개 중 항만공사가 있는 부산항과 광양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항 중 부산과 인천을 제외한 항만공사는 운영에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전반적 여건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바름기자 bareum90@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