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학교는 질문을 가르치지 않는가 황주환 갈라파고스 펴냄. 교육
안강여중 교사 황주환씨가 최근 `왜 학교는 질문을 가르치지 않는가 - 어느 시골교사가 세상에 물음을 제기하는 방법`(갈라파고스)을 펴냈다.
이 책은 어떻게 학교가 학생들에게 억압과 굴종의 공간이 돼버렸는지 그 이유를 추적해간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왜 공부를 하고, 왜 대학에 가는지, 그리고 왜 두발을 비롯해 자신의 몸에 대한 결정권을 갖지 못하는지, 자신 앞에 놓인 수많은 사안에 대해 질문하는 힘을 잃어버렸고 이미 학교는 질문을 허락하지 않고 복종과 주입을 강요해왔고, 학생들은 5지선다형에서만 정답을 찾을 뿐이라는 것.
저자의 이같은 깊은 문제의식은 `질문 없는 학교`와 `질문하지 않는 학생`에서 시작한다. 현재의 암울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한 첫 단초로서 질문의 절실함을 이야기한다. 학생들이 질문을 가져야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또 우리 앞에 놓인 수많은 모순을 극복할 해답도 제대로 된 질문 속에서 찾을 수 있고 질문은 궁극적으로 세상을 변하게 하는 힘이 된다는 것.
이 책에서 저자가 끊임없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아름답고 말랑말랑한 이야기 속에서 감춰져 버린 현실을 직시하자는 것이다. 사실 교육은 체제의 입장에서 피교육자를 길들이는 속성이 있다. 저자에게 책읽기란 그러한 길들여져짐을 넘어서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실천 방법으로,`불온한 책읽기`로 명명된다. 저자는 “살펴보면 세상의 위대한 것들은 모두 시대에 불온했다”고 말한다. 예수도, 갈릴레이도, 마르크스도, 전태일도 모두 그러했으며, 바로 그들을 통해 시대의 핵심이 드러났다. 불온한 책, 불온한 사상, 불온한 사람이야말로 세상을 통찰하는 가장 중요한 지점이 된다는 것이다. 저자의 독서록은 거기에 초점을 맞춘다.
저자가 소개하고 있는 조영래의 `전태일 평전`, 사르트르의 `지식인을 위한 변명`,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루쉰의 `아큐정전`, 강명관의 `열녀의 탄생`, 김용철의 `삼성을 생각한다`에 대한 독서록은 하나의 서평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책 자체의 텍스트와 저자 자신의 삶과 성찰이라는 콘텍스트로 이어짐으로써, 하나의 책들을 더욱 깊고도 풍성하게 읽어내게 되고, 전태일, 아이히만, 아큐 등을 생생하게 그려내어 지금 우리의 모습을 선명하게 바라보게 해줄 것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