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연을 통해 세상 이해하는 삶의 지혜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1-15 02:01 게재일 2016-01-15 13면
스크랩버튼
`꽃으로 세상을 보는 법` 이명희·정영란 열림원 펴냄, 260쪽

`인문학자와 자연과학자의 꽃으로 세상을 보는 법`(열림원)은 매화·동백·목련·벚꽃·산수유·소나무 등 우리 가까이 사는 식물들의 생활사를 인문학과 자연과학이라는 두 가지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내는 에세이다. 건국대에서 글쓰기를 가르치는 이명희 교수, 산림교육전문가인 정영란이 함께한 이 책은 자연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삶의 지혜를 실천하게 하는 인생수업을 담고 있다. 저자 이명희와 정영란은 십 대 시절부터 함께해온 단짝 친구다. 서로의 길을 지켜봐주고 지지해준 두 친구가 사십 대 후반이 돼 한 권의 책을 함께 썼다.

시 쓰는 인문학자와 숲 읽는 자연과학자가 각기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 열두 가지 식물 이야기가 담겨 있다. 직접 돌아다니며 찍은 80여 컷의 꽃 사진들은 마치 독자들에게 삶을 주제로 말을 거는 듯 다채로운 표정을 지니고 있다. 다른 분야의 공부를 하면서 살아온 두 사람이 가진 것을 공유하면서 누린 배움의 시간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었다고 이들은 전한다.

꽃은 한 생애를 어떻게 살아내는가? 꽃도 나무도 알고 있는 삶의 지혜와 비밀을 사람만 모르는 것이 아닐까?

`인문학자와 자연과학자의 꽃으로 세상을 보는 법`은 식물들의 생활사를 읽기 쉽게 이야기로 풀어내는 가운데 작가들 자신의 생의 경험을 녹여낸 책이다.

삶의 다사다난한 길에서 만난 꽃들과의 직접적인 관계 맺음이 진정성 있게 드러난, 자연 공부와 마음공부가 함께하는 책이다.

책은 개인의 삶에 배움이 될 지혜를 전하며 나아가 사회 전체의 행복과 지속발전 가능성의 희망을 전한다. 남들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익숙한 것들과 결별하고 이제까지 미처 보지 못한 세상을 새롭게 만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익숙한 것들과 재회해 그들에게서 귀중함을 발견하는 첫 출발을 마련해주는 책이다.

책은 식물의 약효나 쓰임새보다는 식물의 살아가는 모습에 초점을 뒀다고 한다.

저자들은 “힘들었던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건 이름 모를 꽃들에게 건넨 독백 때문”이었고, 꽃 중의 꽃은 다름 아닌 `사람`이라고 말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