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 능선을 굽어보는, 그 넉넉한 뒤태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절이다. 산의 지형을 이용해 계단과 축대를 쌓아 극락과 깨달음을 향해 가는 9품 만다라의 이미지를 가진 도량이다. 하품하생인 천왕문을 지나면 중품중생인 범종루를 거치고 상품상생인 안양루를 지나면 마침에 극락정토인 무량수전에 이른다. 아홉 단계를 착한 공덕을 쌓고 수행하면 극락세계에 환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일행들이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듣는 사이 나는 서둘러 극락세계로 향한다. 모처럼 고요한 부석사의 품에 홀로 안겨 사색에 젖고 싶다. 햇살이 따갑게 내리꽂히는 계단을 묵묵히 오른다. 얼굴은 벌겋게 익고 몸은 땀으로 젖지만 겸손한 초록빛이 마음을 씻어준다. 한 단계 한 단계 석축을 올라설 때마다 새로운 기쁨과 감동들이 더해진다.
나는 부석사만이 가진 매력적인 공간감에 이내 빠져들고 말았다. 범종루와 안양루는 욕심을 버리고 자기를 낮추며 누하진입식으로 통과해야 하는 건물이다. 극락으로 가는 길은 삶의 여정과 비슷하다. 인내와 고뇌가 따르는 삶에서도, 극락으로 가는 길에도 자기를 낮추고 버리는 수행이 필요하다. 한 단계 높은 곳에서 드러나는 세계는 결코 거드름을 피우거나 위압적이지 않으며, 또 다른 풍경과 깨달음으로 환희에 젖게 만든다.
극락을 뜻하는 안양루를 통과하여 뒤돌아보는 순간 내 인생을 자축할 수밖에 없다. 시원하게 안겨드는 바람과 굽이굽이 펼쳐진 소백의 능선들을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있으리. 햇살 아래에서 유순하게 물결치는 아름다운 산하, 나는 한 점의 구름이 되고 신선이 된다. 자질구레한 그 간의 아픔들이 깨끗이 치유되고 보상받는 느낌이다. 이것이 극락이런가.
단단히 다져진 무량수전 앞마당은 군살이라고는 없다. 외로운 석등 하나가 햇살 속에서 졸고, 오래된 목조건물 무량수전이 서 있다. 나는 우아하고 기품 넘치는 전각 앞에서 고려의 향기를 더듬는다. 웅장하면서도 세련된 배흘림기둥, 선비다운 고결함이 묻어나는 문창살, 사뿐히 들어 올린 추녀의 곡선까지 눈길을 뗄 수 없다. 무량수전의 너그럽고 넉넉한 품에 안겨 해질녘 노을을 보고 싶다. 풍만하면서도 간결한 배흘림기둥에 가만히 등을 기댄다. 누구의 품이 이토록 견고하고 편안할까?
올 때마다 새로운 느낌과 감동으로 다가오는 절이다. 법당 문은 활짝 혹은 반쯤 열린 채 시각적인 시원함을 뿜어내며 나를 맞는다. 안에는 아미타불이 협시보살도 없이 홀로 동쪽을 바라보고 앉아 있다. 역사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법당이다. 사랑스런 마음으로 다가가는 내게 부석사는 숨기고 있던 속살을 드러낸다.
넓고 정갈한 대청마루에서도 불심이 생긴다. 나는 모처럼 바닥에 좌복을 깔지 않고 절을 하기로 했다. 어린 시절 대청마루에서 뒹굴고 놀 때면 살갗에 와 닿던 시원하고 산뜻한 촉감 그대로다. 위압적이지 않으면서 당당한 무량수전의 너그러움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의상 대사를 사모한 당나라 여인, 선묘 낭자의 애틋한 사랑과 서리서리 쌓여 있을 역사 속의 불심을 생각한다.
뙤약볕이 넘실거리는 마당을 가로질러 안양루 옆에 서서 부석사의 뒤태를 더 감상하기로 했다. 범종루의 정면은`봉황산 부석사`라는 현판을 달고 소백산맥을 향해 날아갈 듯 위풍당당한 팔작지붕이었다. 그런데 뒤쪽은 단아하고도 겸허한 맞배지붕으로 조신하게 몸을 낮추고 있다. 처음 보는 특이한 건축 양식인데 전혀 어색하지가 않고 조화롭다.
앞태와 뒤태의 조화가 주는 완벽한 아름다움 앞에서 나는 감탄한다. 범종루는 정면 3칸 측면 4칸의 2층 누각으로 부석사의 중심을 잡아주는 가장 큰 건물이다. 하지만 전체가 무거워 보일까 조용히 측면으로 앉아 있다. 그 동안 왜 이것을 보지 못했을까? 눈길만 머물 뿐 관심은 딴 곳을 향해 있었던 게 분명하다. 고착된 습관성이란 얼마나 무서운가.
모처럼 부석사의 뒤태를 바라보며 앞만 보고 살아온 나를 돌아본다. 나의 뒷모습은 어떤지 떠올려 보지만 자신이 없다. 우리는 잠깐의 대화나 언행, 즉 앞모습만으로 사람을 쉽게 속단하는 경향이 있다. 앞에서 호들갑을 떨며 좋은 말만 하던 사람이 없는 자리에서는 흠담을 하거나 이맛살을 찌푸리게 하는 사람도 있다. 결코 아름답지 않은 뒷모습이다.
하지만 첫인상은 큰 호감을 주지 못하지만 사랑과 봉사로 남들 앞에 서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의 뒷모습은 넉넉하고 편안하다. 내면이 아름다우면 앞모습은 저절로 빛이 나게 마련이다. 나는 다른 이의 시선을 의식하느라 진정한 나를 돌아보는 일에 소홀하지는 않았는가? 부석사 범종루가 아름다운 것은 화려한 앞모습보다 드러내지 않고 자기를 낮추는 뒷모습에 있다.
양과 음의 조화처럼 앞과 뒤의 완벽한 하나 됨이 존재하는 곳, 당당하면서도 겸허한 자태의 범종루가 진리의 세계를 향하여 비상할 듯 날개를 펼치는 순간, 나의 내면은 자연과 영혼의 깊은 연결감으로 더욱 풍요로워진다. 범종루에는 범종이 없다. 하지만 오래도록 나를 깨우는 깊은 울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