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황당한 전주 이설 논리에 주민들 분통

권광순기자
등록일 2012-05-01 21:34 게재일 2012-05-01 5면
스크랩버튼
농지 관정용 사용 전주 이설 요구에 한전 “땅 주인이 비용 내야”
▲ 한전이 건축물 공사를 위해 전주 이설이 시급한 민원에 대해 수개월째 미뤄온 안동시 정상동 문제의 전주.
전주 이설을 요구하는 민원을 몇 달째 미루고 있는 한전에 대해 주민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안동시 정상동 박모(41)씨 등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전주 이설을 요구했으나 `이전 비용을 책임져야 한다`, `전주 이설 업자선정이 되지 않았다` 등의 핑계로 지금까지 5개월째 미뤄 오고 있다는 것.

주민들이 요구하는 문제의 전주는 당초 농사를 짓기 위해 설치한 관정용 전주였으나 지난 2010년 농지가 유치원 부지로 팔려 땅주인이 바뀌면서 건축물 공사를 위해 부득이 이설이 긴급한 전주이다.

특히 이 전주는 개인 소유의 땅에 설치돼 있으며 지금도 인근 농민들이 농지 관정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 전력 요금도 납부하고 있는 상태다.

한전은 처음 박씨가 이설을 요구했을 땐 이설 대금을 요구하더니 요즘엔 업자 선정이 안돼서 이설이 불가능하다며, 건축공사를 위한 부지정지 작업 자체를 방해하는 등 한전 측이 개인 사유재산을 침해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박씨는 농사철에 농민들이 관정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주를 마구잡이로 철거만 주장할 수 없어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전주 이설을 요구했지만 미리 이설경비를 내라는 엉뚱한 답변만 듣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나 한전 측은 “원래 땅주인이 18만원의 설치비용을 들여 관정용 전주를 세웠지만 지주가 바뀌었다 하더라도 전주 이설시 비용을 물어내야 한다”는 등 `땅을 샀으니 전주 이설비도 물어야 한다`는 식으로 황당하기 짝이 없는 `김선달식` 억지 답변만 반복하고 있다.

특히 이설비는 전주 신설비보다 열배나 더 많은 190만원으로 책정해 납부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한전이 전주이설 업자들의 배만 불리는 게 아니냐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한전 경북지사 고객지원팀측은 “문제의 전주는 당초 필요에 의해 요청한 전주라서 고객이 부담해야 한다는 지침에 따라 시행한 것”이라며 “이 지침은 개정 등 수시로 업그레이드 되기 때문에 상부에 지침에 따른 여러 모순점을 건의하겠다”고 해명했다.

안동/권광순기자

gskwon@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