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교수팀에 따르면 이번 개발은 기존에 보고된 물리적 자극에 의해 변색하는 특이적 성질을 지닌 저분자 형광물질보다 발전한 형태인 플라스틱 주재료인 고분자물질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곽기섭 교수팀은 “발광성 공액고분자인 폴리디페닐아세틸렌은 측쇄 페닐링의 뒤틀린 구조로 인해 필름상에서 비중첩형 구조를 가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개발은 폴리디페닐아세틸렌 측쇄기에 긴 알킬기를 붙여줌으로써 분자간 파이전자 상호작용 극소화로 다소 점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 개발로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의 `기능성 소자 융합 플랫폼센터`와 BK21사업의 `지능형 나노복합 소재 인력양성사업` 지원을 통해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의 이창렬 박사와 공동연구한 결과다.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화학회에서 발간되는 화학 분야 학술지인 케미컬 커뮤니케이션 2011년 43권에 게재됐으며, 영국 네이처그룹(NPG)과 일본 도쿄공업대학이 주관하는 NPG Asia Materials 지난 2일 하이라이트로 소개됐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