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경찰 대구보건대 압수수색이 교육과학부의 `전문대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과 관련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해당 사업의 국비 지원이 확정된 지역 13개 대학이 경찰 행보에 이목을 집중시키는 까닭이다.
경찰은 28일 중간수사 발표에서 “대구보건대 교수채용 혐의 건은 토착비리 차원에서 수사에 착수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지역 대학 측은 “대구보건대가 교과부의 교육역량강화사업 국비지원을 받기 위해 교수채용 과정에서 무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일단 비리 사실이 확인된 이상 유사 행위에 대한 경찰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대구보건대와 같은 시기에 비슷한 규모로 교수를 채용한 지역 대학의 경우 혐의 사실과 관계없이 전전긍긍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지역 대학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또한, 지역 대학 관계자들은 “교과부의 국비 지원이 자격 미달 및 부정 교원 채용을 부추겼다”는 지적과 함께 “이는 대구보건대에만 국한된 상황이 아니고 지역의 다른 전문대학에도 문제점이 발견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위기까지 보이고 있다.
이어 일부에서는 “이번 대구보건대 사건이 경찰이 밝힌 대로 토착비리와 관련됐을 뿐 교과부의 국비 지원 건과는 별개의 문제로 치부된다고 해도, 어차피 경찰 수사라는 통관절차는 거쳐야 하지 않느냐”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지역 대학 분위기는 그동안 경찰이 대구보건대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도 1주일여동안 중간 수사발표 등을 하지 않아 이른바 `카더라 방송`이 난무하면서 확산된 것으로 관측된다.
경찰은 다른 대학으로의 수사확대를 계획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제보를 주면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대구보건대 수사 결과 이후 정확한 경찰 수사 행보가 드러날 전망이다.
한편, 지난달 8일 교과부가 국비를 지원키로 한 지역 대학은 모두 13개 대학으로 영진전문대가 52억2천800만원으로 가장 많고, 대구보건대 43억7천200만원, 영남이공대 41억1천900만원, 계명문화대 37억3천만원, 구미1대학 31억5천만원, 대구과학대 29억9천100만원 등의 순이다.
/김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