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이란 경제활동 주체의 거주성(居住性·국적) 구분에 따른 개념으로 한 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에 새로이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을 말한다.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의미하므로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며 말 그대로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주요 거시경제지표로 활용되는 실질 국민총생산(GNP)은 물량변화(수출입의 경우)만을 반영하기 때문에 교역조건 변화에 기인한 실질 소득수준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해 실질소득 총량지표로서 미흡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1990년대 들어 UN, IMF 등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한 국민계정체계의 개정 과정에서 새로운 소득지표인 GNI가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지난 1999년부터 소득지표로 GNP 대신 GNI를 편제, 발표하고 있다.
한편 GNI를 전체 국민수로 나눈 1인당 GNI는 각국 국민들의 평균적 생활수준을 비교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2004년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GNI는 14,162달러로 미국(39,962달러), 일본(37,265달러) 등 주요 선진국은 물론 아시아의 강소국 싱가포르(24,560달러)를 크게 하회하였으며 대만(14,032달러)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였다.
지난해 2/4분기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던 실질 GNI 증가율은 금년 2/4분기에는 외환위기(1998.4/4분기: △6.1%) 제외시 최저수준인 전년동기대비 0.0%에 그쳐 GDP 성장률(3.3%)를 상당폭 밑돌았다.
이처럼 GNI 증가율이 제로 수준에 머문 것은 유가의 고공행진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무역손실이 확대된 데다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금 등으로 자금이 국외로 대거 유출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허리케인(카트리나) 피해, 중동 산유국의 정정 불안, 투기적 수요 등의 영향으로 고유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향후 교역조건의 추가 악화 및 이에 따른 실질 GNI의 회복 지연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같은 실질 GNI의 추이는 최근 지표경기의 완만한 회복과는 달리 대다수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기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이야말로 가계, 기업 및 정부 등 경제주체들이 우리 경제의 조속한 활력 회복을 위해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경제에 올인 해야 할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