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전 생성 논란을 빚던 아스트라제네카(AZ)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12일 재개됐다. 하지만 백신 접종에 대한 불신감이 완전히 불식되지 않아 백신접종 계획의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유럽 의약청 등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위험보다 압도적으로 크다며 AZ백신 접종에 다시 나섰지만 다수 시민의 생각은 다르다. 그동안 AZ백신으로 인한 혈전 생성 논란이 꾸준히 이어져 온데다 접종-연기-재개 등의 혼선과정으로 백신 접종에 대한 불신감이 커져있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혈전 생성문제가 나한테 일어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며 접종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런 분위기는 백신을 맞으면 안전하다는 신뢰감을 심어주지 못한 정부의 책임이다. 특히 백신 접종의 불신감이 11월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한 정부 계획에 차질을 안겨줄 것 같아 더 걱정이다. 당장 AZ백신 접종에 제외된 30세 미만 64만명에 대한 대체 방안이 없는 것도 문제다. 다양한 백신을 확보한 유럽의 국가들과는 상황이 다르다.

우리나라가 백신 접종 후진국으로 분류돼 있다는 것은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지난 2월 백신 접종을 시작한 우리나라는 46일째인 현재 2.22%의 접종률을 보이고 있다. 이스라엘(61%), 영국(47%), 미국(34%) 싱가포르(19.3%) 등과 비교하면 턱없이 먼 거리다. 아시아에선 싱가포르가 연내 집단면역 가능 국가로 예측된다. 현재의 속도라면 우리나라는 목표인 11월의 집단면역 형성은 어렵다는 게 전문가의 관측이다. 정부는 더 숨길 것도 없이 있는 그대로 알리고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데 전력해야 한다. 동시에 부족한 백신 물량 확보에도 사활을 걸어야 한다. 지금 우리 상황은 매우 위중하다. 4차 대유행의 전초단계에 접어들어 자칫하면 하루 1천명 확진자 발생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백신 접종 후 이상증상에 대응할 비상 의료체계를 갖추는 등 국민이 믿고 따를 신뢰를 빨리 회복해야 한다. 국민도 백신 접종이 안전성 논란은 있으나 현재로선 코로나를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대안임을 알아야 한다. 개인방역과 동시에 집단방역을 위한 정부의 백신접종 노력에 협조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