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식의 키워드’

김대식 지음·김영사 펴냄
인문·1만6천800원

‘김대식의 키워드’에 수록된 명화. 막스 베크만作 ‘밤’. /김영사 제공

외로움, 사랑, 미래, 신, 죽음, 정체성….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이런 가치와 철학적인 질문에 고민해 본다. 최근 들어서는 일상적인 인생의 사실과 감정 외에도 팬데믹과 같은 현실을 두고 끊임없이 해답을 찾기도 한다.

뇌과학자인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는 최근 발간한 저서 ‘김대식의 키워드’(김영사)에서 그런 34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유한 결과물을 첨단 신경과학과 고대 문헌을 넘나들며 펼쳐 내놓는다.

‘키워드’는 두 가지 뜻이 있다. 1) 어떤 문장을 이해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말, 2) 데이터를 검색할 때 필요한 정보를 빨리 찾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나 기호 등이다.

연구, 교육, 저술, 강연 등으로 방대한 지식과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온 김대식 교수는 이 책에서 ‘외로움:마음의 지하실’, ‘팬데믹: 인류의 동반자’, ‘미래: 우연과 필연, 질서와 무질서’, ‘신:신은 정말 죽었나’ 등 우리의 생각과 세상을 좌우하는 34개의 열쇳말을 제시하고 과학과 철학, 예술, 신화, 역사에서 소재를 빌려 명쾌하게 풀어내면서 이 시대의 인간과 사회의 문제에 대한 논리적이고 지혜로운 대답을 끌어낸다.

각 꼭지는 대개 명화로 시작한다. 수록된 약 60점의 회화, 사진 중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223쪽, ‘오리지널’)나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266쪽, ‘신’)처럼 유명한 것도 있고, 막스 베크만의 ‘밤’(134쪽, ‘악’)과 ‘출발’(243쪽, ‘역사’),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쾌락의 정원’(187쪽, ‘괴물’)처럼 불편하거나 낯선 작품도 있다. 이 시각자료들은 각 키워드를 풀어나가는 실마리나 상징으로, 때로는 부조리한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는 메타포로 작동하기도 하며 보는 즐거움과 함께 찬찬히 읽을 여유까지 제공한다.

코로나19 시대를 반영한 듯 ‘외로움’이란 키워드에선 “많은 사람이 자가격리에 들어간 오늘날 사랑하고 걱정하기에 역설적으로 사랑하는 사람들과 사회적 거리를 둬야 한다”고 말한다. 외로움을 표현한 미국의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도 예로 들며 “홀로 남아 차를 마시며 나만의 생각에 빠져 버린다”고 고백한다.

저자는 “외롭지 않기 위해 끝없이 노력하고 발전하는 게 인류”라며 “과학과 문명이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더 외로워져야 하는 역설적 존재가 바로 우리 호모 사피엔스”라고 강조한다.

 

‘팬데믹’이란 키워드에선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 전염병, 스위스의 화가 아르놀트 뵈클린의 그림 ‘페스트’ 등을 설명하면서 “많은 불행과 행복은 사실 아무 이유 없이 일어난다. 인과관계와 거리가 멀다”는 의견을 전한다.

책은 “감염병과 바이러스는 인류의 영원한 동반자였다”며 “이번 팬데믹도 극복할 것이지만 이데올로기와 기도를 통해서는 아니다.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키워드 ‘미래’는 우연과 필연, 질서와 무질서의 이야기를 다룬다. 우주에 있는 모든 입장의 정확한 위치와 운동량을 알고 있는 존재가 있다면 과거와 현재,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다는 추론으로까지 나아간다. 다만 양자역학의 근본적 법칙인 불확정성의 원리 등을 제시하며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석도 덧붙인다.

‘신’이란 키워드에선 “신은 죽었다”고 표현한 독일의 철학자 니체가 언급된다. 물리, 화학, 생물학 등 과학 분야를 거론하며 “아브라함의 신 없이도 인류는 세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또 “신은 불안과 공포로 가득한 나약한 우리 인간의 위안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진화론과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분자생물학, 뇌과학이 사람들의 불안을 없애줄 수 있는 건 아니라고 인정한다. 이런 생각을 토대로 스스로 신이 되는 방법은 어떨지 제안하기도 한다. 팔다리뼈를 초강력 탄소복합 소재로 바꾸고, 100년을 못사는 사람의 몸을 유전적으로 개선하며, 아픈 기억을 지워버리는 방법 등을 상상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