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용사 절터서 국내 최초 발굴
통일신라 사찰서 사용된 ‘보당’
금동귀면 등 유물 20여점까지
기존 소장품보다 크고 오래돼

경주 황용사 금동보당(위)과 기단.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통일신라 시대 사찰의 실내 깃대인 ‘보당’이 경주 황용동 황용사 내 절터에서 국내 최초로 발굴돼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문화재청과 함께 경주 옛 황용사(黃龍寺) 발굴조사를 진행 중인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2일 황용사지에서 시굴조사 현장보고회를 개최하고 조사 성과를 공개했다.

공개된 금동제 보당은 당간과 기단부만 남은 모습으로 나왔는데, 두 부분을 합친 길이만 110㎝에 달한다.

국내 유적에서 보당이 발굴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신라 사람들이 절 안에서 불교예식을 벌일 때 사찰의 깃발이나 장막을 내거는 장대로 썼던 보당은 깃발을 매다는 장대인 당간 부분과 당간을 아래서 받치는 지주부와 기단부로 이뤄진다.

국내에서 보당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된 용머리 달린 고려시대 유물(길이 73.8cm)이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번 출토품은 리움 소장품보다 훨씬 크고 제작시기도 앞선다.

보당이 나온 서탑 터 주변에서는 회랑과 건물지, 석축, 석렬(石列, 돌을 일렬로 쌓은 것), 진입부 등도 잇따라 드러났다. 이 유적들에서는 2018년 절터에서 처음 나왔던 금동제 뚫음무늬 귀신얼굴상(귀면상) 2점이 추가로 나왔고, 앞뒷다리를 뻗은 모양의 받침용 금동사자상 2점과 금동불상 옷자락 조각, 금동제 연봉, 금동촛대받침 등 금동제 유물 20여점도 출토됐다. 특히 금동제 뚫음무늬 귀신얼굴상은 지난 조사에서 확인된 금동귀면과 비슷하지만 크기나 수염, 귀모양 등이 조금씩 다른 형태이다.

황용사는 경주 도심에 있던 신라의 국가사찰 황룡사(皇龍寺)와는 다른 불국사의 말사였다. ‘불국사고금역대기’에는 선덕여왕 2년인 633년 황둔사란 이름으로 창건돼 소성왕(재위 799∼800) 때 황용사로 바뀌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2018년 첫 조사 당시 뚫음무늬 있는 금동제 귀신얼굴상(귀면상)과 석불, 소조불, 용두 조각, 명문 기와 등이 출토됐고, 통일신라∼조선시대 건물터 5동과 탑 터, 축대 등도 다수 확인된 바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