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일 시행되는 2021학년도 대학 수능시험의 지원자가 49만3천433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54만8천734명보다 무려 5만5천301명(10.1%)이 감소했다. 수능 응시자가 역대 처음으로 40만명대를 기록했다.

2021학년도 대학 모집정원(4년제와 전문대 포함) 55만5천여명과 단순비교해도 응시자가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해 수능시험 결시율 11.7%를 올해에도 그대로 적용한다면 전국 대학 모집정원보다 무려 6만명 이상이 부족하다는 계산이다.

대구경북지역 대학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학생의 서울소재 대학 응시로 지역대학의 사정은 더 나쁘다. 모집학생 수보다 응시자가 더 적어 인기학과 등을 제외하면 상당수 대학이 정원미달 사태를 맞을 전망이다.

지역의 입시학원 조사에 따르면 2021학년도 지역 4년제 대학 예상 경쟁률은 0.81대 1로 지난해 0.91대 1보다 더 낮다. 1대 1 상황도 안 된다. 전문대학 포함 지역 전체 대학의 예상 경쟁률이 0.68대 1 정도로 예측된다고 하니 지역대학의 장래가 암울하다.

학령인구 감소로 학생 모집이 절대 부족할 것이란 예측은 그동안 해왔지만 예상이 이제는 현실이 된 것이다. 그렇다고 학령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문제에 대응할 방법도 별로 없다. 지역대학은 이제부터 대학의 존폐를 걱정해야하는 사정에 다다른 것이다.

지역대학은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는 중앙 집중화 현상 때문에 수도권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학생모집을 위해 아무리 발버둥쳐도 수도권 대학과는 경쟁이 안 된다. 자연히 교육부의 대학평가도 나쁠 수밖에 없다. 이 상태로 가면 지방소재 대학만 고스란히 없어질 판이다.

지역에 소재한 대학은 지역인재 양성이라는 대학 본래 목적과 함께 지역대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지역사회의 지식집단으로서 지역 발전에 공헌함은 물론이며 경제적으로도 지역사회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지역대학의 정원미달 사태가 가져올 대학의 운영난 등 각종 부작용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 대학 스스로가 특화하거나 취업률을 높이는 등 자구책을 마련해야겠지만 지역사회도 관심을 갖고 노력해야 한다. 지역대학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