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포항본부, 동향 보고서
철강경기 부진·공급물량 많아
전세가격도 작년부터 내리막
분양가격은 5년새 47.3% 올라

포항지역 아파트 시장이 철강경기 부진 및 인구감소 등의 요인으로 수년째 불황이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포항본부(본부장 하대성)는 29일 ‘포항지역 아파트시장 동향과 시사점(조은 한은 포항본부 기획조사팀 조사역)’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이후 국내 아파트시장 매매가격은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지방권은 비교적 안정됐으나 기초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포항지역의 경우 2016년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다 경주지진(2016년)과 포항지진(2017년) 등 연이은 재해가 발생하는 등 경기 외적인 요인들이 수급 불균형과 맞물려 불규칙적인 가격 하방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포항은 지난 2011부터 2015년까지 아파트매매가격 상승률이 연평균 7.9%로, 같은 기간 수도권(0.5%) 및 지방권(5.8%)을 모두 크게 상회한 바 있다. 하지만 2016년부터 하락세로 돌아선 이래 최근까지 하락폭이 더욱 확대되는 모습이다.

특히 단위면적(㎡)당 매매가격도 2012년 157만원에서 2015년 211만원까지 올랐지만, 지난해 178만원을 기록하면서 고점대비 -15.2%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가격 상승률이 떨어짐과 동시에 아파트 거래량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포항지역 아파트시장 거래량(매매건수)은 2011년 고점을 기록한 이후 단계적으로 감소하며 지난해까지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저점을 기록한 2012년(50만4천건)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 2015년(80만8천건) 고점을 찍고 최근까지 감소하고 있다.

지역 아파트 전세시장도 조정에 들어간 분위기다.

포항지역 아파트 전세시장의 전세가격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아파트매매시장과 동일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2016년 이후부터 조정에 들어갔다.

지난 2016∼2017년 중 전세가격 변동률(전년말 대비)은 매매가격 변동률에 비해 견조한 모습을 보였으나 지난해에는 하락폭이 커지면서 매매가격 변동률과 비슷한 하락률을 나타내고 있다.

단위면적(㎡)당 전세가격도 지난 2012년 이후 2017년까지 지속적으로 올랐다가 지난해 146만원을 기록하며 고점 대비 -7.1%를 기록했다.

이와 반대로 포항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의 단위면적(㎡)당 분양가격은 절반 가까이 치솟았다. 지난 2012년 182만원에서 2017년 268만원으로 47.3%라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중고아파트가격 대비 신규아파트가격 비율은 2012∼2015년 중 일정 수준(132%)에서 등락을 반복하다 2017년 큰 폭으로 상승하며 167%를 기록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권의 단위면적(㎡)당 아파트 분양가격은 2012년 221만원에서 2017년 288만원까지 30.3% 상승했다. 2012∼2017년간 분양가격/매매가격 비율은 분양가 및 매매가 모두 소폭 상승세를 유지하면서 126%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반면, 포항지역의 경우 2012년에는 단위면적(㎡)당 분양가가 지방권 평균 대비 82.3%수준에 불과했지만 2017년 93.1%로 상대적으로 신규 분양가격의 상승세가 뚜렷했다.

한은 포항본부는 포항지역 아파트 시장의 침체의 원인으로 지역 주력산업인 철강경기 부진을 꼽았다. 포항의 인구 감소 현상은 지진발생에 따른 불안감 등도 있으나, 2018년 중 인구 감소가 북구보다 지진피해가 적었던 남구가 훨씬 컸던 것으로 보아 철강사 생산 공장이 인천·당진 등으로 재배치한데 따른 일시적인 인구 유출에 기인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포항 아파트 연평균 공급물량이 2천845호 수준이지만, 지난해 공급물량은 2.9배 수준인 8천398호로 같은 기준의 전국수준(1.6배)을 크게 상회해 단기간에 과도한 물량공급도 매매시장 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풀이했다.

한은 포항본부 관계자는 “지역 내 아파트시장 안정화는 지역 소비 및 지방재정 건전성 확보 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효과적인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단기적인 시장상황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중장기 인구구조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공급물량 조절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