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6회까지만 지원` 염두 둬야

이창훈기자
등록일 2012-08-14 20:38 게재일 2012-08-14 6면
스크랩버튼
2013 대입 수시전형 막 올라… 신중한 전략 필수<bR>포항공대 16일… 대부분 내달 5일부터<bR>전형요소 상대적 강점 살려 선택해야

오는 16일부터 2013학년도 대입 수시전형이 시작된다. 지역의 경우 경북대를 비롯 거의 모든대학이 다음달 5일부터 11일까지 수시접수를 시작한다. 하지만 포항공대는 이번달 16일부터 22일까지 접수하므로 이점 유의해야 한다. 아직은 약간의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나 이번 수시부터는 횟수제한이 있는 등 제도가 지난해와는 달라 주의가 요구된다. 수시원서를 앞두고 지원전략을 비롯, 주의할 점 등을 알아본다.

△6회까지만 지원

지난해 수시모집까지는 횟수에 제한없이 원서를 제출할 수 있었으나 올해부터는 6회로 제한했다. 이에 따라 올해 입시에서는 수시 지원에 있어서 보다 신중하고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올해 전체 수시모집인원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가운데 수시지원 횟수가 6회로 제한돼 경쟁률은 지난해에 비해 감소하며, 수시 중복합격자 역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주요대학 논술중심 전형의 경우 경쟁률이 대부분 50:1을 넘어 섰는데 올해는 경쟁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합격가능성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점이 있는 전형 유형에 집중해야

지난해에는 막연한 가능성을 기대하여 수시 지원을 남발하는 경향이 있어 많은 경우 10회 이상 수시 지원을 한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 수시 입시 결과에 따르면 총 3~6회 정도까지 지원한 학생들의 합격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 지원한 학생들의 합격률은 급격히 감소했다. 이에따라 수시원서 남발이 합격률을 높여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줬다. 따라서 수시 전형의 중요한 전형 요소인 학생부, 논술, 면접, 특기 중에서 자신이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는 전형 요소를 선택해 집중하는 것이 합격의 가장 일차적인 조건이다. 또한 지나친 상향지원은 수시 지원의 기회를 잃어버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합격 가능성이 높은 대학과 학과에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학생부 성적의 합격선, 수능우선선발조건, 수능최저학력기준 등을 꼼꼼히 따져 지원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수시1차와 2차를 적절히 배분해 지원전략 수립해야

수시 지원횟수 제한에 따라 `수능 이전 또는 수능 이후에 수시 6회 지원을 모두 할 것인가` 아니면 `적절히 배분하여 할 것인가`를 생각해봐야 한다. 수시1차는 수능 이전(8~9월)에 원서 접수를 하고 수시2차는 수능 이후(11월)에 원서 접수를 한다.

올해는 수시 6회 제한으로 인해 수시 2차가 대폭 감소했다. 대부분의 대학이 수시1차에서 학생을 모집한다. 따라서 만일을 대비해 1회 정도의 기회만 남겨두고 나머지 5회는 수시1차 즉 8~9월 중에 원서 접수를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논술전형의 경우 수시2차에서 기회가 없기 때문에 수시1차에 6장의 카드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유형별 합격 전략에 신경써야

수험생은 자신이 강점이 있는 전형에 집중해야 합격 가능성이 높다. 내신 성적이 좋은 학생은 학생부 전형에, 특기나 스펙이 뛰어난 학생은 사정관전형 혹은 특기자전형, 수능이 좋은 학생은 논술전형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논술전형의 경우 학생부가 반영되지만 실질적인 영향력은 크지 않다. 지난해 고려대 논술전형의 합격자 평균이 2.5등급 정도였다. 우선선발의 경우 2.7등급 정도였다. 즉 합격자의 내신 성적은 1~6등급 사이에 골고루 분포해 있다는 것. 따라서 수능과 논술 성적이 좋으면, 내신성적의 불리함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원학원 차상로 진학지도실장은 “수시전형이 코앞에 닥쳐 수험생은 긴장감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흔들리지 말고 평상시대로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올해는 수시전형이 지난해와 다른만큼 이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창훈기자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