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정치
    • 전체
    • 일반
    • 국회ㆍ정당
    • 외교ㆍ안보
    • 선거
    • 북한
  • 경제
    • 전체
    • 일반
    • 산업
    • 금융
    • 건설
    • 유통 · 재래시장
    • 농수산업
  • 사회
    • 전체
    • 일반
    • 법원/검찰/경찰
    • 사건사고
    • 시민ㆍ사회단체
  • 지방자치
    • 전체
    • 일반
    • 지방의회
    • 지방선거
  • 국제
    • 전체
    • 일반
  • 교육
    • 전체
    • 일반
    • 대학가
    • 대입
  • 문화
    • 전체
    • 일반
    • 공연ㆍ전시
    • 신간안내
    • 여성
    • 종교
    • 문화재
  • 스포츠
    • 전체
    • 일반
    • 육상
    • 구기종목
    • 투기종목
    • 수상스포츠
    • 겨울스포츠
    • 기타스포츠
    • 레포츠
  • 방송ㆍ연예
    • 전체
    • 일반
  • 기획ㆍ특집
  • 사람들
    • 전체
    • 일반
    • 동정
    • 새얼굴
    • 부고
    • 사고(社告)
  • 포항
    • 전체
    • 일반
    • 교육
    • 문화
    • 법원/검찰/경찰
    • 산업
    • 선거
    • 의회
  • 대구
    • 전체
    • 일반
    • 교육
    • 문화
    • 법원/검찰/경찰
    • 산업
    • 선거
    • 의회
  • 동부권
    • 전체
    • 경주
    • 영덕
    • 울릉
    • 울진
  • 중서부권
    • 전체
    • 구미
    • 김천
    • 상주
    • 칠곡
  • 남부권
    • 전체
    • 영천
    • 경산
    • 고령
    • 성주
    • 달성
    • 청도
    • 군위
    • 의성
  • 북부권
    • 전체
    • 안동
    • 영주
    • 예천
    • 봉화
    • 문경
    • 청송
    • 영양
  • 오피니언
    • 전체
    • 사설
    • 칼럼
  • 라이프
    • 전체
    • 시
    • 알림마당
    • 건강
    • 홈닥터
    • 상담
    • 웰빙
    • 만평
  • 포토
    • 전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2021년 01월 25일 (월)
  • 구독신청
  • 기사제보
  • 로그인
  • 회원가입
경북매일
  • 정치
    • 일반
    • 국회ㆍ정당
    • 외교ㆍ안보
    • 선거
    • 북한
  • 사회
    • 일반
    • 법원/검찰/경찰
    • 사건사고
    • 시민ㆍ사회단체
  • 경제
    • 일반
    • 산업
    • 금융
    • 건설
    • 유통 · 재래시장
    • 농수산업
  • 지역뉴스
  • 지방자치
    • 일반
    • 지방의회
    • 지방선거
  • 문화
    • 일반
    • 공연ㆍ전시
    • 신간안내
    • 종교
    • 문화재
  • 교육
    • 일반
    • 대학가
    • 대입
  • 사람들
    • 일반
    • 동정
    • 새얼굴
    • 부고
  •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라이프
    • 건강
    • 시
    • 알림마당
  • 기획특집
  • 포토
  • 정치
    • 일반
    • 국회ㆍ정당
    • 외교ㆍ안보
    • 선거
    • 북한
  • 사회
    • 일반
    • 법원/검찰/경찰
    • 사건사고
    • 시민ㆍ사회단체
  • 경제
    • 일반
    • 산업
    • 금융
    • 건설
    • 유통 · 재래시장
    • 농수산업
  • 지역뉴스
  • 지방자치
    • 일반
    • 지방의회
    • 지방선거
  • 문화
    • 일반
    • 공연ㆍ전시
    • 신간안내
    • 종교
    • 문화재
  • 교육
    • 일반
    • 대학가
    • 대입
  • 사람들
    • 일반
    • 동정
    • 새얼굴
    • 부고
  •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라이프
    • 건강
    • 시
    • 알림마당
  • 기획특집
  • 포토
  • 방송·연예
  • 스포츠
  • 영상뉴스
기사 (74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 사람들
  • 일반
  • 동정
  • 새얼굴
  • 부고
‘제철 신화’ 쓴 정명식 前 포스코 회장 별세
‘제철 신화’ 쓴 정명식 前 포스코 회장 별세

정명식 전 포스코 회장이 지난 19일 향년 90세의 일기로 별세했다.정 전 회장은 193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55년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1959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토목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970년 2월 포스코에 입사해 토건부장, 건설본부장(부사장), 사장, 부회장을 거쳐 1993년 포스코 3대 회장에 취임했다.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사장으로 지낼 당시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연락을 받고 찾아가 만난 것이 일생을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 건설에 바친 계기가 됐다.1970년 포항제철소 ‘열연 비상’

부고 | 박동혁기자 | 2021-01-20 20:34
장성호 전 경북도의회 의장 별세
장성호 전 경북도의회 의장 별세

장성호 전 경북도의회 의장이 80세(1941년생)를 일기로 22일 별세했다.장 전 의장은 1991년 제4대 경상북도의회 의원(포항 제1선거구)으로 시작해 5, 6대에 연속 당선된 3선 도의원으로, 제6대에는 의장으로 활동했다.그는 포항대 수산경영학과와 동국대 국제관계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고위자연자원정책과정을 수료했다. 1976년부터 최근까지 동신해운

부고 | 안찬규기자 | 2020-11-22 20:25
독도의용수비대 이필영 옹 별세… 생존자 5명
독도의용수비대 이필영 옹 별세… 생존자 5명

독도의용수비대원으로 활약한 이필영(97·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사진) 옹이 16일 오후 1시께 숙환으로 별세했다.이필영 옹은 일본이 한국전쟁의 혼란을 틈타 독도를 침탈하려 하자 울릉도 젊은이들로 독도의용수비대를 결성, 독도를 지키는데 참여했다.그는 29세 때 어선 삼사호 선주 겸 기관장을 하면서 독도에서 미역을 채취하던 중 독도의용수비대에 참여했다.독도의용수비대의 보급품 수송에 참여해 60여 차례 독도를 오가면서 보급대원으로 활동하고 어선을 무료로 제공하기도 했다.이필영 옹은 이 같은 공로로 지난 1996년 4월 6일 보국훈장(광복장

부고 | 김두한기자 | 2020-11-16 20:15
△김대권(대구 수성구청장)씨 17일 모친상

△김대권(대구 수성구청장)씨 17일 모친상 = 빈소 : 성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백합원 1호, 발인 : 19일, 장지 : 울진군 온정면 온정1리 911, 연락처 : 010-3803-2390(김대권).※코로나19 감염 위험으로 인해 조문객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조문은 정중히 사양하오니 양해바랍니다.

부고 | 김재욱 기자 | 2020-10-17 17:39
박한용 전 포스코 사장 별세
박한용 전 포스코 사장 별세

포스코교육재단을 이끌었던 박한용 전 포스코 사장이 지난 27일 별세했다. 향년 68세.1951년 부산에서 태어난 박 전 이사장은 동래고와 고려대 통계학과를 졸업하고 1978년 포스코의 전신인 포항제철에 입사했다. 그는 1997년 포스코 홍보실장에 이어 포스코 열연판매실 상무대우, 감사실 상무, 경영지원부문 인력자원실 전무를 거쳐 2009년 포스데이타

부고 | 박동혁기자 | 2019-08-28 19:58
백승홍 前 국회의원 숙환으로 별세
백승홍 前 국회의원 숙환으로 별세

백승홍 전 국회의원이 25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6세.1943년 예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경북고와 영남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1990년대 초 페놀오염사태 진상조사단 단장을 지냈다.1985년 제12대 총선 때 대구에서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으며 1992년에는 민주당 제14대 총선 대구시선거대책본부장을 맡기도 했다.4차례 낙선 끝에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대구 서구갑에서 당선됐고 한나라당 원내 부총무(1998년)를 지내기도 했다. 2000년 제16대 총선시 대구 중구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당선됐지만, 2004년 제17대

부고 | 김영태기자 | 2019-04-25 20:05
장두욱 前도의회 부의장 별세
장두욱 前도의회 부의장 별세

장두욱 전 경북도의회 부의장이 지난 14일 오후 별세했다. 향년 65세. 장 전 부의장은 지난 3일 새벽 4시 40분께 포항시 북구의 한 목욕탕에서 쓰러진 후 뇌사상태에 빠져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왔다.장 전 부의장은 경북도의원 포항시 제3선거구(두호·중앙·죽도·환여동)에서 3선 도의원을 지냈고, 제10대 경북도의회 후반기 부의장을 역임했다.지난 6·13 지방선거에서도 자신의 선거구에서 자유한국당 공천경쟁을 벌이다 상대 후보의 단수 공천이 확정되자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 4선에 도전했지만 낙선하고 말았다.장 전 부의장의 빈소는 포항의료원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6일 오전 8시 30분이고, 장지는 포항시 북구 신광면 선영이다. 연락처는 054-245-0444. /박동혁기자

부고 | 박동혁기자 | 2018-08-15 21:21
‘국시 논란’ 유성환 전 국회의원 별세
‘국시 논란’ 유성환 전 국회의원 별세

유성환 전 국회의원이 24일 새벽 별세했다. 향년 89세.유 전 의원은 전두환 정권 시절이던 1986년 10월 14일 제12대 정기국회 본회의에서 대정부 질문 원고를 통해 이른바 ‘국시 논란’을 빚은 것으로 유명하다.당시 유 전 의원은 “우리나라의 국시는 반공보다 통일이어야 한다. 오늘날의 강대국들의 한반도 현상고착 정책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하고 있다”며 “분단국에 있어서의 통일 또는 민족이라는 용어는 이데올로기에 이르기까지 승화돼야 하며 통일이나 민족이라는 용어는 공산주의나 자본주의보다 그 위에 있어야한다”고 주장했다.유 전 의원은 이날 발언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전격적으로 구속되면서 국회의원이 회기 중 원내발언으로 구속된 헌정사상 초유의 사건을 기록했다.국가보

부고 | 김영태기자 | 2018-07-24 20:58
`포스코 설계자` 김재관 초대 차관보 별세
`포스코 설계자` 김재관 초대 차관보 별세

포스코(포항제철소) 설계자인 김재관 초대 상공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보가 지난 25일 별세했다. 향년 84세. 김 전 차관보는 독일 뮌헨공대에서 공학박사를 받고 독일 제철회사에서 근무하다 1964년 독일을 방문한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 국내 철강공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보고서를 전달했다. 이 일을 계기로 1967년 귀국,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조강 100만t 규모의 일관제철소인 포항제철소(현 포스코) 건설계획 설계에 참여했다. 이후 1973년 상공부 중공업 차관보를 지내면서 조선과 자동차 등 제조업의 기틀을 다졌고, 한국표준연구소를 설립하는 일을 맡아 1975년 초대 소장으로 재직했다. 유족은 부인 양혜숙(한국공연예술원 이사장)씨와 자녀 원준(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선영(인천가톨릭대 교수) 선우(한국과학기술원

부고 | 김명득기자 | 2017-12-26 20:51
영주 출신 김승기 애국지사 별세
영주 출신 김승기 애국지사 별세

경북 영주 출신의 김승기 애국지사가 지난 13일 오후 9시 22분경 서울 보훈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3세.고 김승기 애국지사는 영주에서 야학을 지도하면서 징용거부 운동을 전개하다 1944년 10월 일제의 징병영장에 불응, 일경에 체포됐다. 1945년 8월 병역법 위반으로 1년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르다 8·15광복으로 출옥했다.정부는 김승기 애국지사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장례일정은 13일부터 5일장으로 치러지며,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장례식장 21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17일 오전 6시 30분이며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유족은 2남 3녀다.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16일 오후 서울아산병원을 찾아 조문하고

부고 | 이창훈기자 | 2017-10-16 20:52
△최중혁(㈜한중 팀장)씨 25일 빙부상

△최중혁(㈜한중 팀장)씨 25일 빙부상 = 빈소:포항시민장례식장 VIP실, 발인:27일, 연락처:010-6503-1010.

부고 | | 2017-09-25 21:05
`인문학계 거장` 박이문 포스텍 교수 별세
`인문학계 거장` 박이문 포스텍 교수 별세

한국 인문학계의 거장이자 세계적인 철학자인 박이문(본명 박인희) 포스텍 명예교수가 지난 26일 오후 10시에 별세했다. 향년 87세. `우리 시대의 철학자`, `둥지의 철학자`로 불렸던 고인은 1930년 충남 아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불문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당시 고인이 쓴 박사 논문이 파리에서 출판됐을 때 하스미 시게히코(蓮實重彦) 전 도쿄대 총장이 책을 서점에서 접하고 저자가 한국인이라는 사실에 놀랐다는 일화가 회자할 정도로 뛰어난 학문적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그는 세계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미국으로 넘어가 남캘리포니아대에서 철학을 공부해 다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평소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해 `박이문 인문학전집 전10권`을

부고 | 윤희정기자 | 2017-03-27 02:01
독립운동가 김인 지사 별세
독립운동가 김인 지사 별세

독립운동가 이갑상 지사가 별세한 지 하루만인 지난 30일 향년 98세로 김인(金仁·사진) 지사도 대구보훈병원에서 별세했다. 김 지사는 평남 평원군 출신으로 1945년 6월 한국광복군 제3지대 지하공작원 윤창호와 접선해 공작원 임명장을 받고 초모 공작에 큰 공을 세웠다. 그는 같은 해 8월 지대본부에 입대해 일본군의 정보수집 및 군자금 조달 등의 활동을 했다. 해방 후에도 그는 1981년 광복회 대구·경북지구 연합지부 지회장을 역임했고, 2003년에는 광복회 대의원으로 활동하는 등 독립유공자와 유족의 예우를 위해 힘써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 8월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심상선기자

부고 | 심상선기자 | 2017-01-31 02:01
독립운동가 이갑상 지사 별세
독립운동가 이갑상 지사 별세

독립운동가인 이갑상(李甲相·사진) 지사가 지난 29일 향년 94세로 대구 파티마병원에서 별세했다. 이 지사는 대구 출신으로 1945년 2월 중국 구강지구 중국군 제17사단에서 중앙군과의 합동작전에 참가해 항일전에 활동했고, 같은 해 일본 헌병에게 체포돼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마포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 광복을 맞아 석방됐다. 해방 후에는 교육 보국의 뜻을 품고 교직에서 장학사와 교장을 두루 역임해 독립정신을 근간으로 한 후진양성과 교육발전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또 광복회 중·서구지회장을 역임해 독립유공자와 유족의 예우를 위해 힘써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12월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이날 빈소에는 권영진 대구시장, 오진영 대구지방보훈청장, 김명환 광복회지회장 등

부고 | 심상선기자 | 2017-01-30 02:01
영남산업, 포항 장량동주민센터에 추석선물 기탁
영남산업, 포항 장량동주민센터에 추석선물 기탁

영남산업(대표 박서용)은 최근 포항시 북구 장량동을 방문해 추석을 맞아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해달라며 사랑의 건어물 선물세트 100상자(270만원 상당)를 전달했다.

부고 | | 2016-09-19 02:01
애국지사 김영하 선생 별세
애국지사 김영하 선생 별세

영주출신으로 학생단체를 조직해 항일 독립운동을 펼친 애국지사 김영하 선생이 지난 24일 향년 96세로 별세했다.고 김영하 선생은 연희전문학교 재학 중이던 1939년 항일결사단체인 조선학생동지회를 조직, 동지 규합과 조직확대에 힘을 쏟았다. 1941년 일경에 체포돼 모진 고문을 당하는 등 1년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지난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고, 유족으로는 3남 4녀가 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지하 1층 1호, 발인은 27일 오전 7시30분. 010-9758-7221./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부고 | 이창훈기자 | 2015-05-25 02:01
김학문 前문경시장 별세
김학문 前문경시장 별세

김학문 전 문경시장이 25일 오전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81세. 김 전 문경시장은 1934년 문경 출생으로 영순초, 문경중, 동양공고를 졸업했으며 61년 12월 문경군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문경군 재무과장, 내무과장, 문경군 부군수, 예천군 부군수를 역임했다. 김 전시장은 민선 1기, 2기 문경시장(11, 12대·1995~2002)을 지냈다. 유족으로는 부인 장윤자(75)씨와 김형기(55), 현숙(54), 영기(48)씨 등 2남1녀가 있다. 문경장례식장 특실이며 발인은 27일 오전 8시 30분이다. 연락처는 054-555-7000.문경/강남진기자 75kangnj@kbmaeil.com

부고 | 강남진기자 | 2015-02-25 02:01
풍산그룹 배준영 여사 별세
풍산그룹 배준영 여사 별세

풍산그룹 창업주 고(故) 류찬우 회장 미망인이자 현 풍산그룹 류진 회장의 모친인 배준영 여사가 지난달 31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세. 배 여사는 지난 27년 동안 한국여자테니스연맹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테니스 꿈나무 육성과 어머니 선수들에게 큰 관심과 애정을 쏟았으며 최근까지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 한-중, 한-일 간 스포츠 교류를 통한 국가 간 우호증진에도 노력했고, 한국여학사 협회의 재정위원으로 지난 15년 동안 장학금을 후원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해 왔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가족장으로 치러지며 발인은 3일 서울 충정로 풍산빌딩 대강당에서 진행된다. 경주/황재성기자

부고 | 황재성기자 | 2015-02-01 02:01
독도의용수비대 유원식 대원 별세
독도의용수비대 유원식 대원 별세

독도의용수비대 교육대장으로 활약하던 유원식 대원이 지난 17일 대구에서 별세했다. 향년 85세. 고 유 대원은 독도의용수비대 33인 중 한명으로 1930년 울릉도에서 태어나 평생을 나라와 독도 수호에 몸바쳤다. 6·25 전쟁 당시 부상해 중사로 전역한 고 유 대원은 독도의용수비대 교육대장을 맡아 1956년 12월 독도가 경찰의 보호를 받게 될 때까지 일본의 불법침입으로부터 독도를 지키는 활동을 했다. 이후에는 울릉도에서 공직생활을 하다가 독도수호 활동에 헌신한 공로로 1996년 정부로부터 보국훈장 광복장을 받기도 했다. 고 유 대원의 별세로 33인의 독도의용수비대 중 7명이 생존하게 됐다. 빈소는 대구 파티마 병원 장례식장 귀빈실 501호(전화 053-958-9000). 발인은 19일 오전 6시.울릉/김두

부고 | 김두한기자 | 2014-11-18 02:01
애국지사 채주형 선생 별세
애국지사 채주형 선생 별세

애국지사 채주형(蔡周亨·사진) 선생이 지난 11일 오전 4시 10분 동국대경주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5세.경주 출신인 고 채주형 선생은 1944년 경주중학교 3학년 재학시 안동농림학교 주도로 결성된 항일학생운동단체 명성회에 가입해 `새벽`지를 구독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이로 인해 1945년 3월 일본 경찰에 체포돼 1945년 8월 16일 기소유예로 석방되기까지 5개월 간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지난 200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유족으로는 배우자 하순덕 여사와 2남.경주/윤종현기자yjh0931@kbmaeil.com 

부고 | 윤종현기자 | 2013-10-13 02:01


  • 처음처음
  • 1
  • 2
  • 3
  • 4
  • 다음다음
  • 끝끝
목욕탕發 감염에…
목욕탕發 감염에…
포근한 겨울 ‘여유로운 한때’
포근한 겨울 ‘여유로운 한때’
사이좋은 눈사람
사이좋은 눈사람
스트레칭하는 의료진
스트레칭하는 의료진
‘하늘 나는 에어택시’
‘하늘 나는 에어택시’
“반팔도 거뜬해요” 추위 누그러져 ‘포근’
“반팔도 거뜬해요” 추위 누그러져 ‘포근’
대한에 만난 봄의 전령사
대한에 만난 봄의 전령사
“경주 야외스케이트장으로 가요”
“경주 야외스케이트장으로 가요”
중앙선 넘나들며 ‘무법 질주’ 전동 킥보드
중앙선 넘나들며 ‘무법 질주’ 전동 킥보드
‘겨울 진객’ 큰고니의 비행
‘겨울 진객’ 큰고니의 비행
오피니언
  • 사설
    도 넘은 가덕도 신공항, TK는 속수무책?
  • 사설
    4대강 보 해체… 전형적인 ‘실책 알박기’ 행태
  •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는 무엇인가? 시사포커스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는 무엇인가?
  • 해양기후변화와 울릉도(독도)의 대응 시사포커스
    해양기후변화와 울릉도(독도)의 대응
  • 국민통합이 필요하다 아침산책
    국민통합이 필요하다
  • 나무만 보고 숲을 못 본다 월요광장
    나무만 보고 숲을 못 본다
많이 본 뉴스
오늘
종합
정치
사회
경제
지역
자치
문화
교육
  • 1
    인천~백령도 선령 만기 2년 앞두고 준비…포항~울릉도 선령 만기 1년 지나 준비 대조적
  • 2
    “모든 주민에 재난지원금 10만원씩”
  • 3
    울릉도 1월 겨울 바다 오징어 잡혀…울릉도 어민들 짭짤한 수입 올려
  • 4
    “포항 목욕탕발 N차 감염 막아라”
  • 5
    △박인도(울릉군의원)·최득순 씨 장녀 설기
  • 6
    CU 편의점, '구룡포 과메기 쌈' 출시
  • 7
    경북∼충청∼호남 ‘동서교통망’ 뚫어야
  • 1
    울릉도 항로 1만t급 여객선 취항 가시화…국내 굴지의 해운사 공모참여 결정
  • 2
    미안하고 화난다… ‘정인이 사건’으로 포항에 쏠린 분노의 시선
  • 3
    “지금 전국은 전유진 홀릭 음색·가창력 모두 완벽!!”
  • 4
    대구, 조정대상지역 지정 약발 없었다
  • 5
    포항출신 가수 이시현, ‘트롯 전국체전’서 돌풍
  • 6
    구룡포의 신음 언제 멎나
  • 7
    코로나가 과메기 잡네
  • 1
    “김병욱, 인턴 비서 성폭행 의혹”
  • 2
    오늘부터 모든 실내체육시설 영업 가능
  • 3
    안철수·홍준표, 팔공산 동화사에서 만났다
  • 4
    국민의힘 TK 의원, 가덕도 신공항 ‘앵무새식 대응’만 되풀이
  • 5
    총선 25명 보수 ‘싹쓸이’…TK 국회의원 가운데 7명은 재판 중
  • 6
    ‘가덕도 신공항 반대’ 감사 촉구 TK 정치권도 동참
  • 7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16일 발표
  • 1
    미안하고 화난다… ‘정인이 사건’으로 포항에 쏠린 분노의 시선
  • 2
    구룡포의 신음 언제 멎나
  • 3
    밤 9시 일상 멈춘다… 포항·경주 5일간 ‘셧다운’
  • 4
    구룡포가 ‘발칵’… 점점 커져 가는 ‘해맞이 공포’
  • 5
    자영업자 ‘눈물의 폐업’ 중고거래 헐값 판매 성행
  • 6
    코로나도 잡는 만능 구충제? 약국마다 동났다
  • 7
    구미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칠곡이 풍선효과?
  • 1
    대구, 조정대상지역 지정 약발 없었다
  • 2
    KTX 포항역 삼구트리니엔 전 타입 1순위 마감
  • 3
    대구·경북지역 올해 아파트분양 물량 전망 제각각
  • 4
    대구 엑스코선 예타 통과 후 인근 부동산값 상승세
  • 5
    국토부, 지방 과열지역 감시 칼 빼들었다
  • 6
    포스코청암재단, 의료진 7명 ‘포스코히어로즈’선정
  • 7
    대구지역 아파트값 신축년 연초 상승세 기조 유지
  • 1
    울릉도 항로 1만t급 여객선 취항 가시화…국내 굴지의 해운사 공모참여 결정
  • 2
    울릉도주민 여객선 승선할 때 불편…이고·지고·끌고·들고 승선권·주민등록 검사
  • 3
    울릉고 공무원 임용후보자 전원 합격…지방공무원 임용후보자 장학생
  • 4
    포항~울릉도 간 대형카페리 공모공고…포항해수청 국내톤수 8천t 이상 길이 190m 이하
  • 5
    인기방송인 박수홍의 울릉도 사랑… 오징어잡이 성공 어복 있는 울릉도의 아들
  • 6
    울릉도 모텔에서 40대 여자 숨진 채 발견
  • 7
    한파 급습 경북 시·군 수도계량기 동파 속출
  • 1
    대구도시철도 엑스코선 드디어 ‘본궤도’… 동·북부 교통난 해소 획기적 기회
  • 2
    안동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준공식
  • 3
    경산·군위·봉화·울릉·의성 등 민원서비스 최하등급
  • 4
    경북도청 신도시 주민등록 인구 2만 돌파
  • 5
    ‘해양수산 시장 키워라’ 정부 닻 올리고, 경북 돛 달고
  • 6
    일괄·선별 나뉘거나 돈이 없어 못 주거나
  • 7
    ‘9급에서 1급까지’ 성공신화 모범사례
  • 1
    동리목월문예창작대학, 신춘문예 등단 산실로
  • 2
    “산·들·강·바다 품은 포항은 신비로운 도시”
  • 3
    ‘포항촉발지진 국민감사청구서’ 특별호 발간
  • 4
    “제빵은 과학… 배움 20년째 현재진행형”
  • 5
    포항중앙교회 ‘2021 신년 특별새벽기도회’ 시작
  • 6
    포항 교회들, 연말연시 이웃돕기 '훈훈'
  • 7
    “새해엔 마음의 ‘평화 텃밭’ 일구어 가길”
  • 1
    코로나19 직격탄에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
  • 2
    로스쿨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 1위 기염
  • 3
    예비 고3, 겨울방학 동안 꼼꼼한 학습법 유지하라
  • 4
    지방 거점 국립대 정시 경쟁률 사실상 ‘미달’수준
  • 5
    올해 첫 문·이과 통합 수능 시행… 어떻게 달라지나
  • 6
    코로나19로 원격수업 전면 확대… 학습 격차 경험
  • 7
    ‘대학취업·창업평가’서 전국 20위 이름 올려
방송 · 연예
  • 임성한 작가 6년 만의 신작 ‘결혼작사 이혼작곡’ 6% 출발
    임성한 작가 6년 만의 신작 ‘결혼작사 이혼작곡’ 6% 출발
  • 현빈 “최고의 파트너 손예진에 감사”
  • BTS ‘다이너마이트’, 5개월 만에 유튜브 8억뷰 돌파
문화
  • 대구시향·합창단, 신규 예능 단원 공개 채용

    대구시립예술단이 열정과 재능을 겸비한 예능 단원을 공개 채용한다. 모집 부문은 교향악단 바순 수석, 호른 차석, 합창단 테너 단원이다. 응시 자격은 해당 모집 부문을 전공한 4년제 대학 졸업자 혹은 기타 이와 동등한...

  • 포항문화재단 ‘제5기 시민축제기획단’ 모집
    포항문화재단 ‘제5기 시민축제기획단’ 모집

    (재)포항문화재단(대표이사 차재근)은 시민이 중심이 돼 아이디어 제안부터 기획을 아우르는 시민주도형 문화관광축제를 위한 ‘제5기 시민축제기획단’을 오는 2월 17일까지 모집한다. ...

  • “인간은 감정의 동물, 잊지말아야”
    “인간은 감정의 동물, 잊지말아야”

    포항지역에서 프리랜서 아나운서로 활약 중인 김지현 아나운서가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이 커진 소통과 말하기 방법을 제시하는 책을 출간해 화제다.신간 ‘대화의 품격’(교보문고)은 미국 하...

스포츠
  • 신축년 맞은 스틸러스포항 출신 베테랑으로거센 ‘돌풍’ 이끈다
    신축년 맞은 스틸러스포항 출신 베테랑으로거센 ‘돌풍’ 이끈다
  • 18년 원클럽맨 김광석, 끝내 인천행…
  • ‘들소’ 신광훈, 친정팀 포항스틸러스로 컴백
경북매일

신   문   

신문사소개 사업제휴 광고문의 불편신고 편집규약 저작권문의 독자권익위

운   영   

기자윤리강령 광고윤리강령 재난보도준칙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수집거부 고충처리인제도
  • 제호 : 경북매일
  • 일간신문등록번호 : 가-96호
  • 등록일 : 1990-02-10
  • 발행·편집인 : 최윤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철화 편집국장
  • 본사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앙로 289 경북매일신문
  • TEL : 054-289-5000
  • FAX : 054-249-2388
  • 경북도청본사 주소 : 경북 안동시 풍천면 수호로 69(4층)
  • TEL : 054-854-5100
  • FAX : 054-854-5107
  • 대구본부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51(굿빌딩 3층)
  • TEL : 053-951-6100
  • FAX : 053-951-6103
  • 중부본부 주소 : 경북 구미시 신시로 14길 50(3층)
  • TEL : 054-441-5100
  • FAX : 054-441-5101
  • 경북매일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1 경북매일.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kbmae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