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실태조사 초등생 피해 응답률 6%로 가장 높아”
경북교육청이 16일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공동으로 실시한 것으로 2024년 2학기부터 2025년 5월까지의 학교폭력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경북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19만812명의 조사 대상 중 16만4599명이 참여해 86.3%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참여율인 82.2%를 웃도는 수치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인식한 학생의 비율은 전체 평균 2.6%로, 전국 평균 2.5%보다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이 6.0%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은 1.7%, 고등학생은 0.7%였다. 이는 지난해 대비 각각 0.8%p, 0.3%p, 0.3%p 상승한 수치다. 경북교육청은 초등학생의 피해 응답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 “학생들이 사소한 갈등이나 다툼도 학교폭력으로 인식해 응답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학교폭력 신고 건 중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심의로 이어진 비율은 중학교 45.9%, 초등학교 31.1%, 고등학교 22%로 나타나 이 같은 경향을 뒷받침한다. 피해 유형별 응답 비율(중복응답 포함)은 언어폭력이 38.8%로 가장 많았고, 집단따돌림 15.9%, 신체폭력 14.8%, 사이버폭력 7.4%, 성폭력 6.3%, 강요 6.1%, 스토킹 5.5%, 금품갈취 5.2% 순으로 조사됐다.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학생들이 체감할 수 있는 학교폭력 예방 방안을 세우고,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대응력을 한층 높이겠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건설경기 얼어 붙는데 전문건설업체는 늘어난다고?
“먹고 살길이 걱정이네요. 건설 경기가 없어 사무실 운영이 어렵다 보니 전업이나 폐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일거리는 줄어들고 경비는 늘어나는데 업체 간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져 앞날이 막막합니다.” 영주시에서 전문건설업체를 운영하는 A씨의 하소연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지역 건설 경기가 해마다 위축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영주 지역 전문건설업체 수는 오히려 늘어나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영주시에 따르면 관내 전문건설업체는 △2022년 305개(463개 업종) △2023년 319개(497개 업종) △2024년 323개(506개 업종) △올해 8월 현재 332개(525개 업종)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2021년 301개(440개 업종)에 비해 업체 수는 31개, 업종 수는 85개가 늘어난 수치다. 또 2014∼2016년 평균치(246개 업체, 370개 업종)와 비교하면 업체는 86개, 업종은 55개가 증가했다. 경북도내 종합건설사 역시 올해 8월 현재 1463개로, 2021년 대비 423개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 관계자 B씨는 “전문건설업체 수는 매년 늘어나지만 정상적으로 운영 가능한 곳은 30%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경기 침체 속에서 장비업 종사자들이 활로를 찾기 위해 건설업 등록에 나선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에 비해 업체 수가 늘어나면서 영세 업체의 경영상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국토교통부는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매년 건설업체의 자본금 유지 적정성을 심사한다. 자본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업체는 지자체에 통보돼 소명 절차를 거쳐 영업정지 처분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부족한 자본금을 채우기 위해 금융권 대출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자 부담까지 떠안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영주시의 최근 3년간 공사·시설 관련 예산은 △2023년 3567억원 △2024년 3900억원 △올해 제1회 추경 기준 3502억원으로 큰 변동이 없다. 그러나 인건비, 물가, 자재비가 오르면서 같은 예산 규모에서도 실제 발주되는 공사 수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