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내려다본 경주 안강 옥산서원.
하늘에서 내려다본 경주 안강 옥산서원.

여행 없는 여름이 너무 길다. 대다수 한국인들에게 한여름에 훌쩍 떠나는 며칠간의 휴가는 삶의 에너지로 역할 한 것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2020년 벽두. 누가 청하지 않았음에도 불현듯 찾아온 ‘코로나19 바이러스’ 탓에 제대로 된 여름휴가를 즐기지 못한 것이 벌써 3년째 접어들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이 완화된 올해는 ‘그래도 좀 나으려니...’ 기대했건만, 그 기대가 속절없이 무너져 내리는 2022년 여름이 야속하다. 한반도 중부에서는 연일 폭우가, 남부엔 견디기 힘든 폭염이 긴 기간 지속되는 와중에도 어김없이 여름휴가철은 눈앞에 다가왔다.

다시금 증가한다는 코로나19 감염자 관련 보도를 보자면 아직 해외로 떠나기엔 시기상조(時機尙早)인 것 같고, 어쩔 도리 없이 사람들과 다닥다닥 붙어서 더위를 식혀야 하는 실내수영장과 워터 파크 등은 여전히 조심스럽다.

이럴 땐 그래도 ‘거리두기’가 가능하고, 가까운 곳에 자리한 피서지를 찾는 게 인지상정. 그럼 어디에 그런 곳이 있을까?

경북도에 거주하며 ‘물 좋고 시원스런 휴가지’를 검색하는 이들이라면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을 올여름 가족 피서지로 결정하는 게 어떨까 싶다.

비교적 조용한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거기에 더해 조선의 우뚝한 유학자가 남긴 역사의 향기까지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바로 옥산서원 일대다.

 

조선 중종 때 성리학자이자 문신인

회재 이언적 타계 후 학문·덕행 기려

1572년 창건… 선조가 이름 하사

위패 봉인 체인묘·제수 보관 전사청

학문 연구공간인 무변루·구인당 등

틀에 짠 듯 질서정연한 건축미 뽐내

옥산서원 담장 곁에 핀 백일홍.
옥산서원 담장 곁에 핀 백일홍.

□ 유네스코도 인정한 한국 정신문화의 핵심 공간

평일 한낮. 다소 번잡한 경주 시내를 벗어나 옥산서원이 자리한 안강읍 옥산리로 가는 길. 여름을 여름답게 하는 매미 소리가 요란했다. 어느새 도시의 짜증스러움은 저편으로 사라지고, 잊고 살았던 어린 날 시골의 성하(盛夏) 풍경.

쭉쭉 높다랗게 자라나 더위를 식히는 풍성한 그늘을 품은 수백 년 된 나무들이 도열한 군인처럼 옥산서원 방문자들을 반기고 있었다.

입에 발린 수사지만 경치가 그저 그만이다. 더할 나위 없는 피서지로 느껴졌다.

도착했으니 이제 옥산서원이 어떤 곳인지를 알아볼 시간. 서원 입구의 표지판이 사적 제154호인 이 서원의 연혁(沿革)을 설명하고 있다.

“옥산서원은 회재 이언적(李彦迪·1491 ~1553)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세웠다. 이언적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으로 그의 성리학은 퇴계 이황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종묘에 명종의 공신으로 모셔져 있다.

그가 타계한 후 1572년에 경주부윤 이제민이 지방 유림의 뜻에 따라 서원을 창건했으며, 1574년에는 선조에게서 옥산서원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아 사액서원(賜額書院·왕으로부터 편액·서적·토지·노비를 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이 됐다.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이 ‘서원 철폐령’을 내렸을 때도 헐리지 않고 그대로 살아남은 47개의 서원과 사당 중 하나다.”

사실 옥산서원은 서원 자체보다 맑은 물이 흐르고 산새가 지저귀는 주변의 빼어난 풍광으로 여행자들에게 더 유명하다.

하지만, 서원이 지닌 가치와 그 안에 깃든 조선의 선비정신을 이해하고나면 옥산서원의 기와 하나, 사람들이 오가는 조그만 문 하나에 담긴 세세한 사연에도 자연스레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의 ‘서원’은 우리나라만이 아닌 세계의 역사·문화학자들이 지대한 관심을 가지는 건축물이다.

그런 차원에서 유네스코(UNESCO·교육·과학·문화의 보급과 교류를 통해 국가간 협력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연합 전문기구)는 한국의 몇몇 서원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옥산서원은 소수서원, 도산서원, 남계서원, 도동서원 등과 함께 ‘조선시대 전국 각지의 지식인들이 제향을 올리고 강학을 하며 성리학 교육 체계를 만들어 가던 공간’으로 인정받았다.

성리학이라는 조선의 통치·사회이념이 살아 숨 쉬고 있다는 것 외에도 옥산서원은 건물이 지닌 형식미도 높게 평가받는다.

전문가들은 “동시대에 만들어진 다른 사원들이 자유로운 건축 양식을 보이는데 반해 옥산서원은 틀에 짠 듯 질서정연한 형식을 갖췄다”고 입을 모은다.

건축물 자체에서 긴장과 절제가 느껴진다는 건 ‘조선 선비’ 회재 이언적의 품성과도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한여름 옥산서원에서 어르신들이 유학 강의를 듣고 있다.
한여름 옥산서원에서 어르신들이 유학 강의를 듣고 있다.

□ 유학 강의 듣는 어르신들 모습에 겹쳐진 회재의 그림자

방앗간을 찾았으면 떡을 뽑아야 하고, 포도청에 갔으면 억울한 사연을 알려야 하는 법. 서원을 방문했으니 안을 둘러봐야 하는 게 정해진 수순이다.

옥산서원의 입구인 체인문을 지나 이언적의 위패가 봉안된 체인묘를 가장 먼저 만나봤다. 품격과 기품이 느껴지는 미려한 문이고, 건축물이었다.

제사를 올리기 위한 제수를 보관하던 전사청을 지나 그 옛날 경주 지방의 유학자들이 학문을 연구하던 무변루와 구인당 등을 보러 가니,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 수십 명이 젊은 강사에게 ‘유학(儒學) 강의’를 듣고 있었다. 옥산서원에 썩 잘 어울리는 모습.

그랬다. 이언적이 살았던 15~16세기 조선의 학자들은 땡볕이 쏟아지고, 장마철 습기가 방바닥에 곰팡이를 피우는 한여름에도 의관을 제대로 갖추고 사서(四書)와 삼경(三經), ‘춘추(春秋)’와 ‘예기(禮記)’를 읽었다. 그게 그 시절 선비들의 점잖은 피서방식이었음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기자가 옥산서원을 찾은 날은 기온이 섭씨 35도를 오르내렸다. 말 그대로 찜통더위. 그럼에도 강사의 말을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 메모까지 하는 어르신들 모습에서 ‘현대를 사는 회재’를 보았다고 하면 과장일까?

이쯤에서 옥산서원의 주인이라 해도 좋을 회재 이언적이 어떤 사람인지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기자의 얕은 역사지식으론 짧고 알기 쉽게 설명하기 어려우니 아래 ‘한국 미의 재발견-궁궐·유교건축’의 한 부분을 인용한다.

“회재는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이다. 주희의 주리론적 입장을 성리학의 정통으로 밝힘으로써 조선시대 성리학의 방향과 성격을 정립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호를 ‘회재’라 한 것은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의 호인 회암(晦庵)에서 회(晦)자를 취함으로써 주희의 학문을 따랐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회재의 성리학은 이후 퇴계에게 이어진다. 회재는 1610년(광해군 2년) 9월에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황 등과 함께 문묘에 종사됐다. ‘동방오현(東方五賢)’이라 불리는 이들은 조선조 도학(道學)의 우뚝 선 봉우리로 평가받는다.

회재의 고향은 경주 양동마을이다. 만년에 관직을 그만두고 양동에서 그리 멀지 않은 경주 안강읍 옥산 시냇가에 자리를 잡은 후 안채를 짓고 개울에 면하여 사랑채 독락당(獨樂堂)과 정자 계정(溪亭)을 경영한다.

자연을 벗 삼으며 약 6년간 성리학 연구에만 전념했다. 그런 연유로 회재가 세상을 떠난 후 독락당에서 가까운 곳에 계곡을 사이에 두고 옥산서원이 창건되었다.”

 

옥산서원 인근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아이들.  /사진 이용선기자
옥산서원 인근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아이들. /사진 이용선기자

□ 옥산서원 계곡에서 들려오는 아이들 웃음소리

물론 다른 견해도 있겠지만, 회재에 관해서는 “고위직을 두루 거치고 높은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음에도 어느 한 편에만 서지 않고 중용(中庸)을 지킨 조선의 학자”라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는 이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쓰고 있다. 다음과 같은 문장이다.

“이언적은 사화(士禍·조선시대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몰려 참혹한 화를 입었던 사건)가 거듭되는 사림(士林)의 시련기에 살았던 선비로서, 을사사화 때는 좌찬성·판의금부사의 중요한 직책으로 사림과 권력층 간신 사이에서 억울한 사림의 희생을 막으려고 노력하다가 결국 사화의 희생물이 되고 말았다.”

그래서일까? 이언적의 넉넉한 품이 옥산서원과 주변 자연환경까지 자신의 풍모를 닮게 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얼핏 들었다.

서원을 나와 졸졸거리는 물소리를 따라 검고 평평한 바위가 인상적인 계곡으로 올라갔다.

유치원에서 소풍을 온 것인지 아장아장 걷는 아이들이 차가운 물에 발을 담그고 한낮의 무더위를 식히고 있었다. 그래. 어리다고 더위를 느끼지 않을 턱이 없다. 그네들의 천진난만한 피서가 더 없이 귀여워 보였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