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知를 읽다` 노마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752쪽

“일본어권에서는 이미 분야별로 한국학 연구자들의 연구가 많이 이뤄져 왔습니다. 하지만 그들에게 한국은 어디까지나 연구의 `대상`일 뿐이었죠. 지(知)라는 같은 평면에서 한국을 들여다보고 싶었습니다.”

저서 `한글의 탄생`을 통해 한글을 `지`의 관점에서 조명한 언어학자 노마 히데키(野間秀樹) 일본 국제교양대 객원교수가 `한국의 지`에 관한 또 다른 기획의 결과물을 최근 국내에 번역 출간했다. 한국어권과 일본어권 지식인 140명의 글을 모아 엮은 `한국의 知를 읽다`(위즈덤하우스)다.

한국어판 출간에 맞춰 최근 방한한 노마 <사진>교수는 7일 인터뷰에서 “일본어권에서 `한국`과 `지`라는 말이 함께 등장하는 책은 거의 없었다”며 “한국의 지에 대한 일본어권과 한국어권 지식인들의 시각을 공유하는 계기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노마 교수는 `지`를 “우리가 삶을 사는 데 꼭 필요한, 지성과 관련된 모든 것”으로 정의하면서 “물론 오랜 세월 전수되는 기술 등 `암묵지`도 지라고 할 수 있지만 이 책에서는 일단 언어화한, 번역된 지를 다뤘다”고 말했다.

책을 두고 “학자들의 연구성과 모음집이 아니다”라고 밝힌 노마 교수는 필자를 선정하면서 한국과 관련이 있는지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히려 그래야만 진정한 한국의 지에 다가갈 수 있다고 봤다”고 했다.

책의 구성 자체는 별로 특별하지 않다. 양국에서 활동하는 지식인들이 각자 읽은 책 가운데 자신을 `한국의 지`와 접촉하게 한 저작을 골라 소개하는 방식이다. 언뜻 흔한 서평 모음집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필자들의 폭은 상당히 넓다. 한국 독자 입장에서는 일본어권의 어떤 필자들이 어떤 책을 통해 한국의 지를 접했는가에 관심이 갈 법하다. 사상가 가라타니 고진(柄谷善男), 역사학자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등 유명 학자들은 물론 언론인, 출판인, 작가, 시민운동가, 영화감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의 종사자 94명이 글을 썼다.

쉽게 손에 잡히는 주제가 아니어서 고사하려 한 필자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노마 교수가 일일이 전화와 이메일로 이들을 접촉, 여러 차례 설득하고 원고를 청탁했다.
 

“한국 연구자나 한국학에 관여하는 사람, 한국과 접촉하는 사람뿐 아니라 일본어권에서 `지의 최전선`에 관여하는 이들이라면 어딘가에서 한국의 지와 접촉하는 지점이 있었을 겁니다. 그걸 모으고 싶었어요. 가라타니 고진처럼 한국과 관련이 있는 분들이 있지만 없는 분들도 있어요.”

필자가 다양한 만큼 언급된 저작들도 매우 넓은 영역을 아우른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정도전의 삼봉집부터 윤동주와 김지하의 시, 전태일 평전, 박경리와 황석영의 소설 등 잘 알려진 저술이 있는가 하면 김중혁과 같은 현대 작가의 소설, 뮤지컬 `지하철 1호선` 시나리오 같은 의외의 작품도 포함됐다. 한일관계가 양국의 중요 현안이다 보니 이를 다룬 서적들도 여러 필자가 거론했다.

노마 교수는 “두 언어권 지식인들 간 차이를 부각하기보다 다양성에 무게를 두려 했다”며 “처음부터 한국의 지를 두고 다양한 시각이 나오리라 예상했지만 실제 원고를 취합해 보니 생각한 것보다 훨씬 다양성이 컸다”고 말했다.

/정철화기자

    정철화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