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은 병신입니까` 구연상 지음 채륜 펴냄, 336쪽

9일은 한글날이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 반포한 날을 기념하는 법정공휴일이다. 현재 국제법상 국가로 인정받고 있는 전세계 국가는 242개국이지만 문자는 66개 정도이고 이 가운데 한글은 가장 과학적인 문자로 평가받고 있다. 한글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위대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한글은 무지했던 국민들의 문맹을 깨치고 수없는 외세의 침략에서 나라를 지켜낸 민족정신이자 전쟁의 상처를 딛고 현재 세계 10위권의 경제발전을 이룩한 원동력이었다.

그런 우수한 한글이 우리나라에서 정작 천대를 받고 있다. 국가기관을 비롯해 교육현장에서까지 뜻모를 외국어가 남발하고 거리의 광고물은 외국어로 도배되다시피해 있다. 1945년에 법정공휴일로 제정됐던 한글날은 지난 1990년 공휴일에서 제외됐다가 지난해 재지정되는 수모를 당했다.

이같은 한글을 천대하는 우리 사회현상을 꼬집은 책이 출간돼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랫동안 `우리말로 학문하기` 운동에 힘써 온 구연상 숙명여대 교수가 `우리말은 병신말입니까`(채륜 펴냄)를 출간했다.

구 교수는 이 책에서 정부, 언론사, 대학 경영자 등 한국의 사회적 권력자들이 영어화 또는 국제화에 대한 자신들의 개인적 판단에 따라 우리말을 마구잡이 `병신 말`로 만든다고 주장했다.

특히 다른 나라 언론사의 대학평가 지표에는 한국 언론사들이 애지중지 떠받드는 `국제 저널 평가`와 `국제화 평가`라는 평가 요소가 빠져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한국 언론사들이 외국 언론사들의 대학평가 방식을 따르는 점을 고려하면 이 두 요소는 우리 언론사들의 창작품인 셈인데, 이는 곧 `우리말을 병신으로 만드는 세력`이 바로 우리 자신임을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모든 학문어의 영어화는 학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학문어 선택의 자유를 가로막고 학문의 자유를 짓밟는 폭력이며, 나아가 민족의 정체성을 허물어 버린다는 것이다.

구 교수가 책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대학교수 임용을 둘러싼 이야기를 통해 말과 글에 대한 억압이 곧 사람과 삶에 대한 통제임을 강조하고, `우리말`에 대한 뜻매김을 통해 우리말이 정말로 `병신 말`인지 아닌지 따져 밝히고 있다.

우리의 말과 글을 비정상으로 내모는 영어몰입교육과 영어로 강의하기, 영어로 논문 쓰기의 실태와 문제점을 논하고 개선 방향도 내놓았다.

 

▲ 구연상 교수

또 정부와 신문사들의 대학평가의 국제화 지표가 왜 옳지 않은지 밝히고, 우리말을 학문어로 키우기 위한 길도 제시한다.

저자는 우리말과 글을 `병신`으로 만드는 주범으로 대학평가를 꼽는다. 현재 대학평가는 대학의 운명을 손아귀에 쥔 사회적 권력이 됐고, 평가 내용 가운데 국제화 항목이 한국의 모든 대학을 영어의 노예로 만든다는 것이다.

학문의 영어화는 단순히 정체성 위기에 그치지 않고 학문어에 대한 제한과 억압으로 학문의 자유마저 크게 움츠러들게 했다고 그는 진단했다.

저자는 책 제목에 붙인 `병신`(病身)이란 낱말에 대해 옛날에는 그냥 아픈 몸을 뜻했지만 병자호란 이후부터 뜻이 바뀌어 불구자, 무능력자, 약자, 바보를 일컫게 됐다고 설명했다.

구 교수는 이에 따라 학문의 방향이 창조성과 융합 쪽으로 잡혀야 하고 이를 위해선 모국어로 학문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수학이라는 수단을 잃으면 물리학이 길을 잃듯, 우리말과 글이 사라지면 `우리 학문`의 길도 끊긴다면서 학자들에게 동참을 호소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