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자문 한동대 교수

경북도는 동북아자치연합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다. 포항시는 2012년 1월`환동해 허브`정책을 선언하는 등 환동해권 지자체간의 교류와 협력을 위해 애쓰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들이 아직은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인데 그 이유는 국가 간의 역사적 갈등, 지역적인 낙후, 인프라 부족, 지자체들의 정치적 한계 등 다양할 것이다.

하지만 지자체들의 차원에서 중요하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은 항만물류라고 본다. 대구경북의 관문항인 영일만항도 일본, 중국, 동남아 항만들만이 아니라 환동해권 항만들과 항로개설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화물들을 TSR을 통해 유럽전역과 연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개항한지 얼마 되지 않은 탓도 있겠지만 영일만항은 인지도가 낮고 아직 대구와 경북의 물동량 조차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 및 물동량 유치, 지역기업의 지역항만 이용 노력, 경북도를 비롯한 지자체와 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강원도의 경우에는 동해안에 제2청사격인 환동해본부를 두어 항만물류 및 수산자원 개발에 힘을 쏟고 있으며 속초-자루비노(훈춘)항로 개척 등 다양한 환동해권 내지 해양지향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물론 그 결과는 어려움의 연속이지만 그 노력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경북도의 경우 강원도 보다 인구, 재정, 인적자원, 경제산업 대부분의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환동해권 관련 활동에 있어서는 강원도에 비해 결코 앞선다고 하기 힘들다. 경북도가 대외지향 내지 해양지향적인 정책노선을 공격적으로 추구해 나가기 위해서는 영일만항이 있고 인구가 집중된 동해안 지역에 제2청사 내지 출장소 설치를 크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본다.

환동해권의 활성화에 대해서 지난 수십년간 많은 기대와 함께 실망도 컸다고 본다. 하지만 국가 차원에서나 동해안권 지자체들 차원에서 환동해권을 그대로 방치할 수는 없는 것은 이 지역의 지정학적인 중요성과 발전가능성이 더욱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정부에서도 북러 경협사업인 나진-하산 프로젝트에 관심이 크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북한과 러시아의 철도연결을 통해서 물류사업을 확대하는 것이다.

러시아는 극동지역 발전을 위해 풍부한 에너지 및 천연자원을 동아시아, 특히 한국이나 일본으로 수출하려고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는 2013년 9월에 하산과 나진을 연결하는 철도를 재개통했고 나진항 현대화사업을 곧 마무리 할 것이라고 한다.

나진항을 통해서 한러, 그리고 북러의 협력이 높아진다면 북한의 입장에서는 통과료 확보만이 아니라 파급되는 경제적 이익이 클 것이다. 우리 한국의 입장에서도 하나의 물류거점 확보 이상의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경북도, 포항시 등 동해안 광역 및 기초지자체들로서도 항만연계를 통한 물류사업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국가적인 노력에 발맞춘 지자체 차원의 협력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환동해권 지자체들간의 문화사회적 교류를 좀 더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며 지역의 중소기업들이 러시아 하산, 중국 창지투, 그리고 나진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지역을 넓혀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지자체나 NGO 차원에서 러시아 하산이나 북한 나선지구를 대상으로 농업개발이나 커뮤니티 개발협력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대구경북의 관문항구이자 차별화된 배후산업 및 인적인프라를 갖춘 영일만항의 활용이 중요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대구경북의 북방항로와 북방교역이 개척되고 남북을 아우르는 우리나라 발전의 신성장동력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