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야마성에서 내려다본 마쓰야마 시내.
마쓰야마성에서 내려다본 마쓰야마 시내.

일본이 외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인다는 소식은 익히 들어 알고 있던 사실이었습니다.

실제로 2024년 1월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268만8100명) 가운데 한국인은 가장 많은 85만7000명을 기록했다고 하는데요. 이런 추세로 가면, 올해에는 일본 방문 한국인 관광객 수가 역대 최대인 1000만 명을 넘길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최근에 유명 관광지인 오사카의 도톤보리나 도쿄의 센소지 등에서는 한국어가 일본어만큼이나 많이 들린다는 이야기도 있는데요. 제가 실제로 한국인의 뜨거운 일본 관광열을 확인한 것은, 2024년 1월 28일 한국과 일본의 고전문학을 전공한 C·Y교수와 마쓰야마(松山) 공항을 나왔을 때입니다. 공항을 나선 저희 일행 앞에는, 무려 세 대의 대형버스가 한국인 관광객을 마쓰야마 각지로 실어 나르기 위해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에히메현(愛媛県)의 대표도시인 마쓰야마 시내로 들어서자, 가츠산(勝山) 산정에 자리 잡은 마쓰야마성의 혼마루(本丸, 성의 중심부)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습니다. 숙소인 비즈니스 호텔의 욕탕에서도 보이던 마쓰야마성은, 마쓰야마 시내 어디를 가든 보였는데요. 3박 4일 내내 마쓰야마성을 보며, 철학자 제레미 벤담이 제안한 판옵티콘(panopticon, 일망감시체제)이 떠올랐습니다. 판옵티콘은 죄수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고안된 원형 감옥을 말합니다.
 

우물 복원 과정에서 발견된 러시아 시대 금화.
우물 복원 과정에서 발견된 러시아 시대 금화.

이곳에서 모든 죄수들은 감시자가 머무는 중앙을 바라보지만, 감시자가 머무는 곳은 늘 어둡게 처리하여 죄수들은 감시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죄수들은 자신들이 늘 감시받는다고 느끼게 되며, 그 결과 나중에는 감시자들이 원하는 규율을 자연스럽게 내면화하게 된다는 것인데요. 어쩌면 일본에서 성은 외적을 방어하는 목적보다도 영지에 사는 평민들에게 웅장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영주의 권력을 각인시키는 목적이 더 크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목적에서라면 세토나이해(瀬戸內海)까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마쓰야마성은 참으로 빼어난 성임에 분명합니다.

이름난 무장이었던 가토 요시아키가 1602년에 축성을 시작한 이후, 수십 년에 걸쳐 완성된 마쓰야마성은 일본의 3대 연립식 평산성(산성과 평지성의 중간쯤으로 구릉지와 평지를 각각 일부씩 포함한 성곽) 중의 하나입니다. 마쓰야마성은 매우 큰 규모를 자랑하는데요, 해발 132m의 가츠산 정상에는 혼마루가, 산기슭에는 니노마루(二の丸, 영주의 거주공간)와 산노마루(三の丸, 가신들의 저택)가 짜임새 있게 펼쳐져 있습니다.

우리 일행은 에도 시대에 건축된 천수각으로 유명한 혼마루을 구경한 후에, 과거의 니노마루를 복원한 니노마루사적공원을 산책했습니다. 일본 특유의 정원미가 가득한 공원을 거닐던 저는 흥미로운 안내판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그 안내판은 거대한 우물 옆에 놓여 있었는데요.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매립되었던 우물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제정 러시아 시대의 10루블짜리 금화가 발견되었다는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그 금화에 러시아인과 일본인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는 것인데요. 일본의 전통 정원에서 러시아 금화가 나온 것이나, 거기에 러시아인과 일본인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것 등이 모두 이해되지 않아 저를 혼란스럽게 했습니다.

제 의문은 한국에 돌아와 박삼현 교수가 쓴 ‘마쓰야마, 언덕 위의 구름’(동아시아 도시 이야기, 서해문집, 2022)이라는 글을 만나면서 비로소 해소되었는데요. 박삼현 교수에 따르면, 러일전쟁 당시 마쓰야마에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러시아군 포로수용소가 설치되었고, 당시 마쓰야마 인구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4천여 명의 러시아군 포로가 수용되었다고 합니다. 자연스럽게 마쓰야마 사람들과 러시아군 포로들의 일상적 교류도 이루어졌고, 그 결과로 마쓰야마성의 니노마루를 복원한 공원의 우물에서 러시아 금화가 발견될 수 있었다는 것인데요. 여러 조사를 통해, 금화에 이름을 새긴 러시아인과 일본인은 각각 당시 포로가 되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러시아군 장교와 그를 간호하던 일본인 여자 간호사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이경재 숭실대 교수
이경재 숭실대 교수

금화가 발견된 이후 마쓰야마의 니노마루공원은 연인들이 프러포즈를 하는 성지가 되었고, 2019년에는 금화를 모티브로 한 영화 ‘소로킨이 본 사쿠라’까지 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이 영화는 일본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제작했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는 생각이 듭니다.

니노마루공원의 바로 옆에 있는 반스이소(萬翠莊)의 곳곳에도, 반스이소에서 ‘소로킨이 본 사쿠라’가 촬영되었음을 알리는 사진이나 문구가 전시돼 있었습니다.

프랑스풍 르네상스식 건물인 반스이소는 마쓰야마 영주의 자손인 히사마쓰 사다코토가 1922년에 지은 이후, 사교장으로서 그 명성을 떨쳐온 아름다운 건축물입니다. 일본 중요문화재로도 지정된 반스이소를 각계의 명사들은 물론이고 천황이 방문하기도 했지요. 일본의 성터 우물에서 발견한 러시아 금화를 보며, 어쩌면 인류는 늘 깊이 연결된 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들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