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옥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여남은 살쯤이었을 것이다. 막내이모가 결혼하던 겨울이었다. 외갓집 마당에서 올린 혼례식은 끝나도 당일로 돌아가지 않고 며칠을 더 묵는 손님들이 많이 있었다. 자연 잔치분위기는 며칠 더 이어졌다. 나도 아예 방학 내내 있을 참이었다. 어린 손이어도 외할머니와 외숙모의 부엌일도 거들고 심부름을 곧잘 하면서 밥값을 했다. 나의 큰 소임 중의 하나는 상차림이었다. 열 개도 훨씬 넘는 작은 개다리소반을 마루에 쭉 나열해 두고는 독상을 차리는 것이었다. 상마다 수저를 놓고, 작은 종지 같은 반찬그릇에 일일이 반찬을 덜어 담았다. 일은 어렵지 않았으나 추위가 문제였다. 밥상을 행주로 닦으면 금방 살얼음이 끼었고, 수저는 손가락에 쩍쩍 달라붙곤 했다. 차가운 마룻바닥에 닿는 발도 몹시 시렸다. 발가락을 구부려 바닥에 닿는 면을 최소화해 종종걸음하며 반찬을 담았다. 문어숙회를 찍어 먹을 초고추장도 담고, 각색전 옆에 둘 깨소금간장도 덜어담았다. 그 중에 시금장이 있었다. 작은 단지에 담겨있는 시금장은 된장보다는 색깔이 거무튀튀하고 살짝 묽었다. 그 장을 한 숟가락씩 떠서 작은 종지에 덜어담았다. 먹고 싶은 생각이 전혀 들지 않는 비주얼이라 맛보고 싶지 않았다. 시금장은 소스가 아니라 그대로 반찬이었다.

대학생이었을 때 큰집에서 시금장을 다시 봤다. 어릴 때 봤던 거라 눈에는 익숙하나 맛은 본 적이 없어 쭈뼛거리고 있었다. 온 식구들이 모두 맛난 반찬 같이 시금장을 먹는 것을 보고 용기를 냈다. 부드러운 단맛과 꼬들꼬들 씹히는 무말랭이의 식감도 섞인 오묘한 풍미였다. 첫 맛임에도 진작 먹어 본 듯도 한 익숙한 맛 같기도 했다. 그러고 보니 며칠 전까지 처마 밑에 매달려 있던 깨주메기가 없어졌다. 고운 보리등겨 가루를 물로 반죽해 뭉쳐서 납작하게 눌러 가운데 구멍을 뚫어 도넛 모양으로 만든 깨주메기를 새끼나 나무 꼬챙이에 끼워 건조시켰다. 다 마르면 불에 구운 깨주메기는 처마 밑에 매달아 두었다가 시금장을 만든다고 했다. 장 만드는 과정은 못 봤지만 며칠 전까지 있던 바로 그것으로 만든 것이 분명했다. 시금장의 맛을 안 알게 된 나는 결혼 후에도 시어머니의 솜씨로 만든 시금장을 종종 먹었고, 어른들은 젊은이가 시금장을 잘 먹는다며 대견해 하셨다.

외할머니, 외숙모, 큰어머니, 시어머니 돌아가신 후로는 시금장을 먹지 못했다. 언젠가 안강 장날 시금장을 판다길래 사 먹었더니 옛날의 그 맛이 아니었다. 또 경주의 한 식당에서 단골에게만 조금씩 준다는 시금장을 얻어먹어 봤는데 감질났다. 인터넷에서 시금장을 검색하면 팔기는 하나 맛에 실망할까 선뜻 구매할 용기가 안 섰다.

며칠 전 큰형님과 통화할 일이 생겼다. 마침 자네 주려고 시금장 좀 담아 놨네 하시는 형님의 말씀에 나도 모르게 타다닥 손뼉을 쳤다. 목소리의 톤도 절로 높아졌다. 정말요? 직접 담으셨어요? 와 맛있겠네요. 과연 예전 먹었던 바로 그 맛의 시금장이었다. 남편은 살짝 거부감 드는 비주얼 때문에 근처에 놓지도 못하게 한다. 매 끼마다 간장종지에 한 숟가락 듬뿍 떠서 내 쪽에 감추듯 두고 아껴아껴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