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살아가면서 우리는 만남과 별리(別離)를 경험한다. 만나고 헤어지는 일이야말로 인간의 일생에서 가장 중대한 일대사(一大事)다. 불가(佛家)에서는 그것을 인연생(因緣生) 인연멸(因緣滅)로 명쾌하게 풀이한다. 인연이 생겨나면 만나는 것이요, 인연이 다하면 헤어지는 것이다. 고로 만남과 헤어짐에 특별한 의미와 희로애락을 부여할 까닭도 없는 셈이다.

19세기 러시아 소설가 도스토예프스키(1821∼1881)의 장편소설 ‘죄와 벌’(1866)에 등장하는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는 은둔 생활자 혹은 러시아판 ‘히키코모리’다. 돈 때문에 휴학생으로 지내는 그는 정의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돈은 많지만, 사회적 이(蝨)에 불과한 전당포 노파 알료나를 살해하고자 한다. 타인의 돈을 부당하게 갈취해 부를 축적한 노파를 죽여 가난한 이들을 구제하려고 기획하는 그는 러시아판 홍길동이나 임꺽정처럼 보인다.

라스콜리니코프가 그런 기괴하고 낯선 사유에 빠져드는 계기는 사회적 고립이다. 겉으로 보기에 그는 노파를 살해할 동기를 부(富)의 사회적 불평등과 공정한 분배에서 구하지만, 실제로 그의 사유와 인식에는 초인의식이 자리한다. 나폴레옹은 수많은 인명을 죽음으로 몰고 갔지만, 그는 범죄자가 아니라, 영웅이라 불린다. 사회적 불의와 악행의 표본인 전당포 노파를 죽임으로써 초인의 대열에 합류해보자는 계산이 그의 흉중에 깊이 자리 잡는다.

그가 부조리하고 흉악한 범죄를 꿈꾸고 실행하는 배경은 고립무원(孤立無援)한 처지와 무관하지 않다. 그의 사회적 관계는 매우 협소하다. 오랜 친구 라주미힌과 여동생 두냐 그리고 어머니 정도가 고작이다. 그는 온종일 다락방에 틀어박혀 완전범죄를 실행할 계책과 구체적인 방도에 골몰한다. 미침내 그는 노파와 그녀의 여동생 리자베타를 무참하게 살해한다.

여기서부터 우리는 주인공의 급변하는 내면세계와 만난다. 살인자 자신도 의식하지 못한 죄의식이 어느샌가 그를 찾아오기 시작하는 것이다. 섬망(譫妄)의 형식으로 밤마다 그를 괴롭히는 잠재의식의 심연에서 그는 조금도 자유롭지 못하다. 그런 그가 대면하는 구원의 손길은 우연한 ‘만남’에서 비롯한다.

여주인공 소냐가 살인자의 내면 깊은 곳으로 틈입한다. 혼자였던 그가 자신의 왜곡되고 굴절된, 억압받고 학대받은 영혼을 하나둘씩 털어놓을 대상과 만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소냐에게 자신의 범죄를 고백하고, 자발적으로 예심판사 포르피리를 찾아간다.

라스콜리니코프를 칠흑 같은 사회적 고립과 은산철벽(銀山鐵壁) 같은 견고한 격절(隔絶)에서 구해낸 것은 소냐였다. 의붓어미와 동생들 그리고 알코올 중독자 아버지 마르멜라도프의 호구지책(糊口之策)을 위해 제 한 몸을 거리에서 팔아야 했던 소냐. 하지만 소냐는 그런 사회-경제적 모순과 침탈을 원망하지 않으며, 그 어떤 저항도 시도하지 않고 순응하는 인물이다.

소냐와 만남으로써 라스콜리니코프는 회개하는 인간으로 거듭 태어난다.

고립무원으로 파괴된 자아를 타자와 만남으로써 구원하려는 그의 행로는 우리에게 ‘만남’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