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수도 아테네. 민주정 대표적 역사 도시이자 지혜와 전쟁의 여신 아테나 이름만큼 역사가 깊다.

고대 그리스는 아테네를 비롯해 스파르타, 테베, 코린토스, 에레트리아가 폴리스 대표적인 도시국가였다.

기원전 431년에서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에 대항해 스파르타를 지원하는 도시국가가 승리했다곤 하지만, 그리스 사회는 에너지 고갈이라는 쓴맛을 보아야 했다. 결국 그들이 바르바로이, 즉 변방의 야만인이라 부르던 마케도니아 발아래 무릎 꿇게 된다.

그리스 수도 아테네는 민주정 대표적 역사 도시이자 지혜와 전쟁의 여신 아테나 이름만큼 역사가 깊다. 기원전 8세기 전후로 귀족들이 정치·군사적 권력이 점차 강화되면서 왕정이 약화된다. 그러자 교역과 공업으로 부를 축적한 시민과 귀족 간 대결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왕정으로 시작해 군주정에서 민주정으로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기원전 6세기에 접어들면서 상공업이 발달하자 빈부 격차가 심해지고 부채를 해결하지 못해 노예로 전락하는 시민이 늘어났다. 기원전 594년, 이때 아테네 최초의 시인으로 평가받는 솔론(Solon)이 등장한다. 재산 정도에 따라 정치적인 권리에 차등을 주는 개혁, 금권정치를 단행한다. 부채노예를 금지하고, 정당하게든 부당하게든 팔려 간 사람들과 빚의 멍에를 피해 이국땅을 방황하는 사람들을 아테네로 돌아오게 했다.

그러나 참정권은 아테네에 거주하는 사람 중 여성, 이방인, 미성년자, 노예, 전과자, 빈민 등을 제외하면 10%에 불과했다. 이는 플라톤의 ‘국가론’으로 진화(?)하면서 먼 훗날 존경받는 지식인, 교육받은 귀족에게 권력을 준다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미국 헌법의 토양이 된다.

각설, 금권정치는 새로운 세력의 등장을 부추겼다. 정치가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상대적으로 신분이 낮은 빈민의 지지를 끌어내며 이들을 기반으로 권력 중심에 선다. 귀족은 귀족대로, 평민은 평민대로 제한된 권력 행사에 만족해야 하는 금권정치가 못마땅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두 신분 간 극심한 대립을 가져왔다. 그러나 수적으로 우세했던 빈민 세력을 등에 업은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정권을 탈취하다시피 하여 참주에 오른다. 그가 죽자, 아들 히피아스가 기반을 이어받았으나 독재로 치달으며 폭정을 일삼자 참주 능력에만 의존하는 참주정은 결국 붕괴를 앞당기게 된다. 페르시아로 도망친 히피아스는 페르시아 다리우스 1세가 그리스를 침공할 당시 길잡이를 자처하며 훗날을 도모하지만, 마라톤 전투에서 죽는다. 이후 그리스는 행정구역 개편과 더불어 평의회를 설치하고 아테네에 참주의 등장을 방지하기 위한 ‘도편추방제’가 생겨났다. 깨진 도자기에 독재의 가능성이 있는 인물을 적어 600표 이상이 나오면 10년 동안 해외로 추방하는 제도다.

폴리스 중 아테네처럼 민주정으로 발전한 경우와 달리 귀족정에서 벗어나지 못한 대표적인 경우가 스파르타다. 스파르타인은 피정복민 노예 헤일로타이(heilotai)와 주변인 페리오이코이(peri-oikoi) 위에 군림했다.

스파르타 시민이라면 누구나 군국주의적인 제도에 참여해야 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스파르타인 스스로는 매우 합리적인 민주정이라고 생각하였다.

스파르타에는 왕이 두 명이 있었다. 이들은 세습 가문에서 선출되는 귀족 대표자였지만, 군사 지휘권만 지녔을 뿐 그 어떠한 정치적인 행위에도 간섭할 수 없었다. 행정은 다섯 명의 집정관이 주도했으며, 관직 감시 역할도 담당했다. 특히 집정관은 노예 헤일로타이 감시와 탄압이 가장 중요한 업무였다.
 

젊은 스파르타인들의 운동(에드가 드가 作). 스파르타인은 노예 헤일로타이(heilotai)와 주변인 페리오이코이(peri-oikoi) 위에 군림했다.
젊은 스파르타인들의 운동(에드가 드가 作). 스파르타인은 노예 헤일로타이(heilotai)와 주변인 페리오이코이(peri-oikoi) 위에 군림했다.

스파르타 신민은 20세부터 60세까지 병역 의무를 졌다. 유사시뿐만 아니라, 단체로 병영생활을 하면서 똑같은 토지를 배분받았다. 이 토지는 피정복민 노예에 의해 경작되면서 신민으로서 균등한 대우를 받았다.

헤일로타이에 의해 음식이 만들어지고, 차려지면 시민 모두가 함께 식사를 즐겼다. 사정이 이런 만큼 불쌍하고 가련하기 짝이 없는 헤일로타이 감시가 가장 중요했을 법하다.

웃기는 이야기지만, 이 제도는 다양한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고단한 삶을 이어가던 인근 그리스인에게 무한한 동경의 대상이 된다. 똑같이 먹고, 누리며 즐기는 삶은 대를 이어 양산되는 헤일로타이라는 노예가 있어 가능했다. 따라서 헤일로타이는 결혼도 할 수 있었고, 가정을 위해 제한적이나마 재산도 모을 수 있었지만, 이유 없이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허다하였다.

‘국가’를 쓴 플라톤이 가장 이상적인 국가체제라고 한 스파르타였지만, 우리 아니면 모두 적이었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보다 배척하였으며, 개인의 성향보다 모든 초점이 체제수호에 맞춰져 있었다. 플라톤이 극찬하였으면서도 스파르타로 옮겨가 살지 않은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사족을 붙이자면 상상의 확장일지 몰라도 스파르타는 민주정의 원조 아테네와 달리, 다양성을 부정하는 파시스트 원조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박필우 스토리텔링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