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광현 대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남광현 대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지난해 지역 물 관련 주요 이슈는 녹조와 조류독소, 신천에 낙동강 물공급, 맑은 물 하이웨이, 금호강 르네상스, 멸종위기 수달, 운문댐 가뭄, 집중호우와 산사태, 팔현습지 환경영향평가, 수돗물 발암물질 등 매우 다양했다. 이런 물 관련 이슈들 대부분은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이 모두 함께 관계되지 않는 것들이 없다. 수돗물 발암물질 이슈의 경우를 봐도 지속해서 증가하는 대규모 축산계 오염물질로 인해 녹조를 비롯해 정수장 유입 유기물질의 농도를 높이게 되고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으로 염소 소독처리 후 수돗물 내 총트리할로메탄과 같은 발암물질 농도가 증가할 위험이 커졌다.

이처럼 과거 도시화와 산업화 이전에 인간이 동물 그리고 환경과 함께 균형된 생태계를 유지하던 시대에는 볼 수 없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현상들이 물과 관련해서도 계속 발생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계속 안전하고 건강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 더 엄청난 비용과 노력을 투입하여야 하는데, 이를 최대한 완화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인간, 동물과 환경을 함께 고려한 ‘원헬스 물관리시스템’의 체계적 도입이 필요하다.

‘원헬스’는 인간, 동물, 환경의 건강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원헬스’ 접근 방식은 특히 신종 전염병의 발생과 같은 글로벌 보건 위기에 대응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은 인간, 동물, 환경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이 어떻게 글로벌 보건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이처럼 물관리에서도 ‘원헬스’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자연 속 동물과 수원의 보호, 도시 물순환 관리 그리고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 등을 통합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지난해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제1차 낙동강유역물관리종합계획(2021∼2030)’을 보면 낙동강 본류에서의 취수 의존도가 부산 88%, 경남 51%, 대구 66%로 매우 높아 지역 간 맑은 물 확보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의 원인은 중상류 지역의 대규모 산업단지와 대도시로 인한 본류의 수질악화 그리고 반복되는 수질오염사고 발생으로 인한 먹는 물 불신이라 하였다. 실제 이 계획 수립과정에서 낙동강유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돗물에 대한 불안으로 응답자의 55%나 정수기 물을 음용한다고 답하였다.

이에 올해부터 낙동강 유역에서는 ‘구미, 대구 등 대규모 점오염원 수질관리 강화’, ‘낙동강 수질오염통합방제센터 구축 및 운영’, ‘취수원 상류 미량유해물질 관리체계 구축’, ‘녹조우심지역 대상으로 가축분뇨 및 양분관리체계 시범운영’, ‘습지를 포함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개선방안 마련’ 등 다양한 물환경관리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여기에다 보다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원헬스 물관리시스템’ 도입도 본격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