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한 해가 뉘엿뉘엿 저물고 있다. 숱한 희비와 애환의 사연으로 점철된 2023년이 서서히 세월의 바톤을 넘겨주려 하고 있다. 새해가 시작된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 해의 끝자락에 와있으니, 새삼 시간의 흐름이 빠르게 여겨짐은 그만큼 나이를 먹었다는 반증일까?

개인별로 느껴지는 시간의 속도가 나이에 비례한다는 말이 어쩌면 빈말은 아닌 듯하다. 지나간 날들은 한순간처럼 짧게만 여겨지고 다가올 날들은 녹록하지 않으니, 지난 일 탓하지 말고 오는 일을 쫓는 것(往事不諫 來者可追)이 중요할 듯싶다.

저물고 마무리되는 것들은 모두 아름답다. 서녘을 붉게 물들이는 노을피는 언덕이 아름답고, 하루 일과를 마치고 즐겁게 퇴근하는 발걸음이 경쾌하다.

또한 한 해를 성찰하고 정리하는 송년의 자리가 의미 있으며, 주어진 임기를 마치고 홀가분하게 떠나는 모습에서 당당한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다.

이렇듯 모든 일에는 마무리가 잘되고 아름다워야 시작의 의미와 가치가 살아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항간에서는 일의 끝맺음을 잘하여 좋은 결과를 거둔다는 유종지미(有終之美)를 강조하는 것일까?

한 해가 가고 새해가 오게 되면 만감이 교차하여 달라지고 바뀌는 것들이 많아진다. 즉, 12월이 지나면 한 살 더 먹게 되어 한 학년이 올라가거나 사회에 첫발을 내딛어 고대하던 일들을 새롭게 시작하는 새날이 되기도 한다. 반면, 해를 거듭할수록 도전과 열정의 강건함이 수그러들고, 직장생활도 마무리되는 정년퇴임의 시간을 맞이하기도 한다. 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듯이, 짧게는 한 해가 마무리되지만 길게는 오랜 일터의 삶을 마감해야만 하는 비장(悲壯)의 시간이기도 하다.

‘또 한해가 가버린다고/한탄하며 우울해하기보다는/아직 남아있는 시간들을/고마워하는 마음을/지니게 해주십시오//한 해 동안 받은/우정과 사랑의 선물들/저를 힘들게 했던 슬픔까지도/선한 마음으로 봉헌하며/솔방울 그려진 감사카드 한 장/사랑하는 이들에게/띄우고 싶은 12월//…./가라 옛날이여 오라 새날이여/나를 키우는 모두가/필요한 고마운 시간들이여…’

-이해인 시 ‘송년의 시’ 중에서

겨울과 12월은 만물이 완성되고 제자리로 돌아가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나이 들수록 시간은 더 빨리 간다고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사람과 사물과의 만남의 기회는 줄어들고 헤어짐의 순간은 잦아들기만 하니 세월따라 강퍅해지는 마음 탓일까? 아니, 어쩌면 더 비우고 가볍고 단순해지려는 연습인지도 모른다. 그리운 것들은 마디마디 꺾이고 세월의 여울은 흐느끼듯 웅성이는데, 멀어지고 잊혀지며 보내야 하는 것들이 아집에 사로잡히는 마음뿐이랴. 매사에 인정과 감사함을 남겨 놓으면 훗날에 다시 웃으면서 만날 수 있으리라.

남겨진 삶 동안 어쩌면 다시 못 올 계묘년이지만, 유난히 파란만장하고 다사다난 했었기에 쉽사리 잊혀지지 않을 것 같다. 토끼의 숨가쁜 뜀박질이 용의 힘찬 비상을 기약하는 도움닫기가 되어, 새해 첫날의 설렘이 일년 내내 기쁨으로 열리길 믿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