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길수 수필가
강길수 수필가

올해가 일 주간도 못 남았다. 다시, 세모(歲暮)다. 올해 끝날, 12월 캘린더 한 장을 넘기면 제야의 종소리를 타고 새해 2024년이 밝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시간은 인간사회처럼 다사다난한 게 아니라 그저 강물처럼 유장하게 흐를 뿐이다. 그런 시간을 사람은 책력을 만들어 구분하고, 생활의 방편으로 삼는다. 1년 동안의 해, 달의 운행, 월식, 일식, 절기, 기상변동 등을 적은 책이 책력이란다. 인간은 왜 책력을 만들까. 영적, 이성적 존재여서 그럴까.

사람은 자연 속에 태어나 영향을 받고, 주면서 살다가 결국 그 품으로 돌아가는 존재다. 인간이 자연과 상호작용과정에서 터득한 천문(天文)의 한 분야가 책력이자, 캘린더이리라. 하여, 사람들은 해가 바뀔 때마다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며 살아왔을 터이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올해를 산 나도, 며칠 뒤 12월 캘린더를 넘긴다 생각하니 뭔가가 뒷등을 당기는 기분이다.

2022년 2월, 러시아 침공으로 벌어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아직도 계속된다. 엎친 데 덮쳐 올해 하마스-이스라엘전쟁도 터졌다. 러시아는 공산주의 체제를 버렸음에도, 왜 서방과 척을 질까. 권력자들의 야욕을 이해할 수 없다. 따져 보면, 배다른 형제지간의 후손인 이스라엘과 아랍의 반목과 전쟁은 또 무엇일까. 인류의 집단지성 향상은, 과학기술 발전과 반비례한다는 말인가.

우리 정치권은 왜 ‘좌우 대결’이란 헛된 프레임으로 역사상 가장 찬란히 이뤄낸 민족중흥의 복을 걷어차고, 쪼개기로 국민을 어둠으로 몰고 갈까. 한심하다. 우리 지성들과 언론들은 왜 부정선거, 여론조작, 통계조작 같은 사회 거악들의 본질적 문제들을 외면, 침묵하거나 빈 거짓된 말만 해댈까. 비겁하다! 설마 우리 사회에,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의 디스토피아(dystopia)가 스며든 게 아닐까. 무섭다. 오웰의 빅브라더가 이미, 우리 사회를 움켜쥐었을지도 모른다는 의심마저 드니 말이다.

그 무엇이, 이 세모에 내 뒷등을 당길까. 올 한해를 곰곰이 돌아본다. 맞아, 그랬어. 그 말이 뒷등을 당겼던 거다. 바로, ‘역지사지(易地思之)’란 말이었다. 유행가 가사에도 있듯, ‘입장 바꿔 생각하는 마음’ 말이다. 지난 한 해는 분명 나와 우리 집, 우리 사회와 우리나라, 나아가 지구촌도 역지사지를 더 잊은 한 해였다 싶다.

‘콩 한 쪽도 나누어 먹는다!’는 속담이 있다. 겨레의 삶에 연연히 흐르는 ‘품앗이 문화’를 말하리라. 아이들 어릴 때, 이 속담이 들어간 동요를 “옛말에도 있었네. 콩 한 쪽도 나누어 먹자!…”하고 씩씩하게 부르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아무리 세상이 돈, 권력, 야만으로 탁해져도 겨레의 마음에서 이 문화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콩 한 쪽도 나누는 마음은 바로 역지사지 정신’이니까.

비록 나라 안팎 사정이 녹록지 않더라도, 2023년 세모에 나는 희망의 끈을 놓을 수가 없다. 콩 한 쪽도 나누는 품앗이 문화 곧, ‘역지사지의 삶’을 연연히 살아온 우리 겨레이기 때문이다. 분명, 우리 국민은 2024 새해에도 부정, 비리, 조작, 야만적 폭거 같은 사회악을 이겨내며 꿋꿋하게 살아내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