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봉 대구지사장
홍석봉 대구지사장

대구는 인천과 함께 1981년 7월 직할시가 됐다. 그때만 해도 대구가 인구 규모와 면적이 월등히 앞섰다.

대구는 서울과 부산에 이어 국내 3대 도시의 위상을 자랑했다. 하지만, 이젠 대구와 인천이 완전히 역전됐다.

직할시 출범 당시 인천의 인구와 면적은 114만명 201㎢였고, 대구는 183만명 454㎢였다. 12월 현재 인천의 인구는 299만명, 대구는 240만명으로 60만명가량 차이가 난다. 면적은 대구시가 군위군 편입에 따라 1천499㎢로 7개 특별·광역시 중 최대 규모가 됐지만, 이전에는 인천이 1천66㎢로 가장 넓었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2021년 말 현재 인천이 3천355만원, 대구 2천554만원으로 800만원가량 많다.

2021년 말 기준 지역내총생산은 대구 61조원, 인천 98조원으로 대구는 인천의 61% 수준이다. 고령인구 비율도 대구는 19.2%로 인천의 16.2%에 비해 3% 높다. 이젠 모든 지표가 인천과 비교가 안 될 정도다. 이게 현재 대구의 모습이다.

인천은 이 같은 성장세와 자신감을 바탕으로 지난 2015년 현행 정부의 각종 공문서상 지자체 표기 순서인 ‘서울·부산·대구·인천’을 ‘서울·부산·인천·대구’로 바꿔달라고 건의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역사와 전통을 무시한 채 각종 지표만으로 대구와 인천의 순서를 바꿀 수는 없었을 터이다. 이렇게 위상이 몰라보게 달라진 인천시가 획기적인 출산 지원책을 내놓았다. 2024년부터 인천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만 18세가 될 때까지 총 1억원이 넘는 지원을 한다고 밝혔다.

인천 지역 임산부와 아이들에게 그동안 부모 급여, 아동 수당, 교육비, 보육료, 급식비 등 7천200만원 수준이 지원됐다. 인천시는 여기에 아이 1명당 2천800만원을 더 얹어 주겠다고 했다. 인천의 인구 증가는 그동안 전입 인구가 전출 인구보다 많은 덕을 톡톡히 봤다. 그러나 이런 인구 증가 추세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해 특별한 지원책을 내놓은 것이다.

재정 상황이 뒷받침되지 않았다면 아예 불가능한 일이었다. 허리띠를 조이는 등 ‘채무 0’를 선언한 대구는 인천의 형편을 부러움 반 시샘 반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대구·경북의 인구 감소 추세는 심각하다. 지난해 대구·경북의 출생아 수는 대구 1만 100명, 경북 1만 1천300명으로 1985년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2055년 대구와 경북 인구는 각각 180만명, 220만명으로 급감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대구·경북의 지난해 혼인건수는 1990년의 40% 수준으로 줄었다. 올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명에 불과하다.

인구 대책은 백약이 무효다. 수백조의 예산을 퍼부었지만 나아질 기미는 전혀 없다. 얼마나 답답했으면 ‘생활인구’라는 다소 황당한 개념까지 도입했겠나. 통근·쇼핑·관광 등 목적의 체류 인구도 지역 인구로 잡자고 한다. 지방의 안타까움이 묻어나온다. 3대 도시로 성장, 여유와 저력이 느껴지는 인천을 보면서 대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