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경북대와 금오공대간 통합 논의가 경북대 학생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없던 일이 됐다.

이달 초 경북대와 금오공대는 정부의 글로컬대학 추가 지정을 앞둔 가운데 두 대학이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 필요성에 공감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구체적 실행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나 이 소식을 접한 경북대 학생들의 반발이 일면서 논의 자체가 없던 일이 되고 말았다. 학생들은 학과 점퍼 수 백벌을 본관 앞에 벗어두기도 했고, 통합반대 온라인 운동도 벌였다.

학생들은 “구성원의 의견 수렴 없는 통합은 반대한다”고 주장했고 이에 대학 측은 “애초부터 구체적 논의는 진행되지 않았다”라며 통합 논의를 마무리 지었으나 뒤끝이 씁쓰레하다.

두 대학의 통합 논의는 정부의 글로컬대학 지정과 함께 학령인구 급감으로 벼랑 끝 위기에 몰린 지방소재 국립대학의 생존문제와 연관돼 나온 발상이다. 현재와 같은 학령인구 감소 속에 학생들의 수도권 대학 선호가 이어진다면 20년 후에는 지방소재 대학은 모두 문을 닫아야 한다. 수도권 대학의 정원만으로 전국의 학령인구를 모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글로컬대학 지정은 이런 지방의 대학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다. 일종의 지방대학 구조조정 정책으로 보아도 좋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학을 육성해 지역사회와 함께 동반성장을 이뤄가자는 전략이다. 담대한 혁신을 한 대학은 매년 1천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비지정대학은 각자도생의 길로 가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학령인구 감소가 뻔한 현실에 대학이 선택할 길은 별로 없다. 경북대가 금오공대와의 통합이 무산됐더라도 대학 혁신의 길을 찾지 않으면 존립을 걱정해야 할 시기가 올지도 모른다. 국립 부산대 등 일부 국립대는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대학 지정을 받고 대학혁신의 길에 이미 나섰다. 지역 대표 국립대인 경북대의 변신 노력에 많은 지역민이 관심을 두고 지켜보고 있다. 지성의 대표인 대학의 발전이 곧 지역사회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경북대의 담대한 혁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