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지방통계청이 대구·경북의 인구감소지역(대구 서·남구, 경북 군위포함 16개 시·군) 출생아 수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대구는 72.7%, 경북은 53.5% 줄어들었다. 감소추세가 가팔라 심각한 위기감을 가지게 된다.

2022년말 기준, 대구 서·남구 주민등록인구는 30만1천명으로 2012년 대비 8만8천명(22.5%) 줄어들었지만, 출생아 수는 72.7%나 감소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지난해 기준 2.5명으로 전국 평균(4.9명)의 절반수준이다. 출생아 수에 비해 사망자가 더 많을 때 발생하는 자연감소 인구도 1만1천명이나 됐다.

경북의 인구감소지역은 지난 7월 대구에 편입된 군위군을 포함해 16개 시·군이다. 해당 지역 인구는 지난해 87만명으로, 2012년과 비교해 8.4% 감소했지만, 출생아 수는 10년새 53.5%나 줄었다. 조출생률도 3.7명으로 전국 평균(4.9명)에 미치지 못했다.

정부는 지난 2021년부터 연평균 인구증감률·인구밀도·청년순이동률·고령화비율 등 8개 지표로 인구감소지역을 지정하기 시작했다. 최근 자연적 인구감소와 사회적 인구 유출로 지역사회의 활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이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처음 지정된 곳은 전국 89군데이며, 5년 주기로 지정한다.

대구·경북뿐 아니라 우리나라 출산율은 바닥을 모르고 떨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말 발표한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명으로 집계됐다. 이대로 가면 올 4분기에는 0.6명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문제는 가파른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지만, 제동을 걸 수단이 없다는 점이다. 오죽했으면 해외에서 “한국 인구감소 속도가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급감했던 14세기 유럽보다 더 빠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겠나. 한국 특유의 저출산 원인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정부가 가장 잘 파악하고 있을 것이다. 이 상태로선 얼마 안 가 비수도권 자치단체뿐 아니라 나라까지 소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인구대책을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