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파벨만스’

영화 ‘파벨만스’ 포스터.

우리는 살아오면서 얼마나 많은 영화같은 순간을 만났던가. 우리의 삶은 그 영화같은 순간들이 편집된 기억의 연속일지도 모른다. 기쁨과 슬픔, 감동과 후회, 만남과 이별의 순간들이 이어져 있다. 오랜 세월 영화를 만들어 왔던 감독은 그의 삶에 있었던 영화같은 순간들을 모티프로 작품들을 만든다. 물론 선택된 기억만을 보여주고 필름 위에서 윤색되어 관객을 만난다.

반세기 동안 영화를 만들어 온 그의 작품을 몇 편쯤은 보았을 것이다.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이야기 속에서 기쁨과 놀라움, 슬픔과 감탄을 연발해 왔다. 우리는 영화감독이 만들어 놓은 이야기를 듣는다. 그가 구축한 세계 속에서 전달하고자하는 이미지를 따라가며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를 듣는다. 그 이야기 속에 식인 상어가 있었고, 재탄생된 공룡 시대가 있었고, 모험을 떠나는 소년과 외계인 친구가 있었다. 때론 가슴 아픈 역사의 현실이 펼쳐지기도 했다.

이제 감독은 그가 우리들에게 하지 못했던 그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주저했었고, 감추고 싶었던 이야기를 어떻게 들려줄 것인가를 ‘영화 같은 순간’을 편집해 한 편의 영화로 만들었다.

6살의 어린 새미는 생애 처음 영화관에 간다. 설레임과 두려움으로 거대한 스크린 속에서 펼쳐지는 압도적인 장면들에 매료된다. 이렇게 새미는 영화라는 매체와의 인연이 시작된다. 감독의 자전적 영화인 만큼 당연히 그가 어떻게 영화와 사랑에 빠졌으며 얼마나 영화를 사랑하는지를 보여준다. 영화같았던 순간은 기쁨과 환희의 순간만은 아니었다. 쓰리고 아픈, 마음 속에 깊이 묻어 두었던 지극히 개인적인 가족사까지 드러내야하는 순간이 온다.

잘라 낼 것인가 이어붙일 것인가. 가족의 캠핑 장면을 찍은 필름을 편집하던 중 새미는 우연히 필름에 포착된 가족의 비밀을 알게된다. 그 장면을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사실을 어떻게 감당해야할 것인가의 충격에 휩싸인다. 이 장면을 해소하는 방식은 영화라는 매체의 특성을 이용해서 보여주고 있다. 한 편의 영화가 만들어지기까지 촬영에서부터 편집을 거쳐 완성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끊임없는 선택이 반복된다. 그것이 한 편의 영화를 만드는 작업이었다면 감독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문제다. 하지만 도저히 드러낼 수 없는 실제로 일어났던 일이었다면 잘라 낸다고 해서 잊혀지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77세의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는 자전적 영화인 ‘파벨만스’에서 감추어 두었던 기억, 혹은 잘라 내었던 필름과도 같은 기억을 편집해 넣는다. 그리고 그곳에서부터 다시 시작되었던 영화에 대한 사랑의 과정을 담는다. 역사적 사실과 환상과 상상의 외부 세계를 만들어왔던 감독이 오늘날의 그를 만들었던 은밀했던 과정을 담담히 이야기한다.

‘파벨만스’를 통해 스필버그가 만들어 왔던 영화가 어떻게 개인적인 삶에서부터 시작된 것인지를 알게 된다. 그가 10대 시절에 겪었던 부모의 이혼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들이 그가 만들어 왔던 영화 속의 상황들을 더욱 더 풍성하게 만든다.

인생의 영화같은 순간을 영화적으로 풀어낸 영화다. 잘라 내 감추어두었던 필름을 보고 있는 느낌이다. 감추어 두었던 필름을 이어붙여 보았을 때, 우리는 그가 만들었던 수많은 영화들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를 목격한다. 처음 시작은 영화 만들기의 즐거움이었지만 이내 필름이 포착한 진실과 그 진실을 마주하는 고통과 용기가 필요함을 알게 된다.

영화가 감독의 의도대로 편집되어 만들어진 작품일 때, 관객은 그의 의도에 따라 감정의 리듬을 갖는다. 일흔 중반이 넘은 감독이 인생의 내밀한 이야기를 펼쳐낼 때 잊히지 않는 아픔이 어떻게 “잊히지 않는 꿈”으로 이어지는가를 보여준다. 상처마저 영사기의 아름다운 빛으로 스크린 위에 펼쳐지는 순간을 맛보는 영화다.

/(주)Engine42 대표 김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