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교육부 장관 “킬러문항, 사교육 내모는 근본 원인”
물수능 논란 피할까… 수능 5개월 앞두고 난이도 조절 관건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적정 난이도를 확보하겠다고 재차 강조한 가운데 오는 11월 16일 예정된 2024학년도 수능에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출제는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몇 년간 ‘불수능’ 기조가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킬러 문항’을 배제하더라도 변별력 있는 수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당장 수능을 약 5개월 앞둔 출제진과 교육당국의 최대관건이 됐다.

학부모들과 학생들은 ‘킬러 문항’을 배제하면 결국 수능이 쉬워진다는 뜻은 아닌지, ‘물수능’ 논란은어떻게 피해갈 수 있을지에 온 관심을 쏙도 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국회에서 열린 ‘학교 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 협의회’에 참석해 “(수능의)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출제 기법을 고도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점검하는 등 교육부 수장으로서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그간 논란이 돼 온,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은 소위 ‘킬러 문항’은 시험의 변별성을 높이는 쉬운 방법이지만, 이는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근본 원인이었다”고 킬러 문항을 배제를 시사하기도 했다.

이날 ‘킬러문항 배제’라는 보다 구체적인 출제 방향을 공언한 셈이다.

이러한 언급들을 종합하면 결국 올해 수능 난도가 예년보다 높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교육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특히 윤 대통령에 이어 이 부총리까지 ‘킬러 문항’ 출제를 겨냥했기 때문에 올해 수능은 물론 당장 9월 6일로 예정된 평가원 주관 9월 모의평가에서도 킬러 문항은 자리를 잡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대신 변별력을 갖추는 공정한 시험이 돼야 한다고 윤 대통령이 강조한 데 이어 이 부총리가 이날도 ‘적정 난이도’를 언급한 터라 킬러 문항 자리는 준킬러 문항이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올해 수능은 몇 년 만에 ‘불수능’ 논란을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말 시행된 2019학년도부터 지난해 2023학년도까지 출제된 수능은 비교적 어려운 편에 속했다.

2022학년도에는 국어(언어와 매체 149점, 화법과 작문 147점)와 수학(미적분·기하 각 147점, 확률과 통계 144점) 모두 ‘불수능’으로 꼽혔다.

통합 수능 도입 이전인 2021학년도에는 국어(144점), 2020학년도에는 수학 나형(149점)과 국어(140점), 2019학년도에는 국어(150점) 때문에 ‘불수능’ 논란을 피해 가지 못했다.

다만 물수능 논란을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지는 관건이다.

수능 출제를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킬러 문항을 피하려다가 변별력을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

더구나 코로나19 이후 평가원의 출제 방향과 학생들의 채점 결과가 빗나갔다는 점에 미뤄 실제 위험성도 있어 보인다.

2021학년도부터 2023학년도 수능까지 평가원은 매번 평이한 수능을 냈다고 밝혔고, 학교·입시업계도 까다롭지 않은 시험으로 분석했으나 성적 통지 결과 어려웠던시험으로 평가받았다.이를 두고 교육계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학생들의 학력 하락이 예상보다 심각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평가원이 킬러 문항을 배제한 가운데 최근과 같이 수험생들의 실력을 잘못 평가하는 상황이 겹칠 경우 변별력이 급격히 떨어져 ‘물수능’ 논란을 부를 수도 있는 셈이다.

교육부는 킬러 문항을 배제하면서도 적정한 난이도를 확보하는 방법과 관련해 ‘출제기법을 고도화하겠다’는 것 외에 뾰족한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지난 16일 교육부 출입기자단과의 백브리핑에서 “교육과정내에서 출제하더라도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고, 어느 정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