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한문학자 강성위 박사

강성위 한문학자
‘강호는 넓고 좋은 시는 많다(江湖廣大好詩多)’.

시(詩)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국 현대시를 한시(漢詩)로 옮긴 국내 최초의 서적 ‘한시로 만나는 한국 현대시’는 독자들 사이에 꾸준한 화젯거리다. 이 책을 펴낸 이는 한문학자이기도 한 강성위 시인이다.

이러한 시도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학계나 시단에 없었고 앞으로도 나오기가 어려울 것이다. 한국 시인들의 주옥같은 시가 한시로 번역, 소개되면서 한국 현대시의 중국 등 한자문화권 전파를 꾀하는 ‘한국시의 글로벌화’를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도 보인다.

강성위 시인은 안동 출신으로 현재 서울에서 한시 창작과 번역을 지도하는 작은 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면서 대학 출강과 생활 한시를 창작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오는 29일, 포항에서 책 출간회를 겸한 시낭송회로 독자와의 만남을 준비하고 있는 강 시인을 만났다.

시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 하나로 국내 작품 한시로 옮겨 첫 출간

한글 모르더라도 한문·한시 아는 세계인 누구나 감상할 수 있어

“약은 우리의 육신 치유해주는 시이고, 시는 영혼 치유해주는 약”

-한시란 무엇인가.

△한시(漢詩)란 글자 그대로 말하면 한자로 기록된 시를 일컫는 말로, 중국의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한시는 자수(字數)·구수(句數)의 다소, 평측(平仄)·압운의 유무, 운자(韻字)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며, 이 형식과 규칙은 고립어로서 단음절어(單音節語)인 한자의 특성에 알맞게 되어 있다. 당대(唐代)에 완성된 근체시(近體詩)가 운율, 즉 각 시구를 구성하는 음절의 억양·장단 배열법이 일정한 규칙의 제한을 받는 형식으로 현재까지 전하고 있으며, 고시(古詩), 악부(樂府), 금체시(今體詩) 등으로 불려왔다.

-한시를 쓰게 된 동기가 무엇인가?

△시구(詩句)를 한시 구절로 만든 ‘나는 산처럼 서서 널 생각한다(吾立如山思吾君 오립여산사오군)’를 보고, 서로 알지 못하는 지인 세 사람이 거의 비슷한 의견을 제게 준 것이 계기였다. 곧, 시구 한두 구절만 한시로 만들지 말고 시 전체를 하나의 한시로 만든다면, 조선 시대 몇몇 시인들이 한글로 된 시조를 한시로 번역한 것과 같은 의의가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

-작년 4월 국내 최초로 발간한 ‘한시(漢詩)로 만나는 한국 현대시’ 책의 구성이 독특하다. 중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 우리나라 시가 읽히기를 원하신 것인가?

△딱히 중국만 목표로 한 것은 아니다. 한시는 한문과 함께 전통 시기에는 동양인의 필수적인 소양이었지만, 지금은 유관 분야 전공자들에게만 요구되는 소양으로 바뀌었다. 한시라는 문학 형식에 익숙한 지식인이라면, 그 사람의 국적과 관계없이 한시를 감상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한국의 시를 한시로 옮겨놓으면 한문과 한시를 아는 세계인 누구나가 한글을 전혀 모르더라도 한국의 시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한 시’에 다시 ‘한역의 직역’을 더한 근본적인 목적은 원시(原詩)가 한역이 될 때 어떤 점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하는 것을 한문이나 한시 비전문가들에게도 보여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글로 된 시와 한시(漢詩)를 비교하자면 어떤 특징들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특히 한시는 글자 수가 모두 같은 게 특이하다.

△오늘날 우리가 한시라고 칭하는 시는 대개가 당나라 때 시형(詩形)이 굳어진, 엄격한 형식률이 요구되는 근체시를 가리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근체시와 달리 형식률이 매우 느슨한 시를 고체시(古體詩)라 하는데, 이 고체시 역시 엄연한 한시다. 한시는 근체시는 말할 것도 없고 고체시라 하더라도 정형시에 가깝지만, 그 함축성으로 인하여 한글로 작성된 자유시에서 구현된 ‘자유’를 정형적인 틀 안에 들일 수 있을 정도로 탄력이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시’는 어떤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저는 개인적으로 약(藥)은 우리의 육신을 치유해주는 시이고, 시는 우리의 영혼을 치유해주는 약이라고 생각한다. 약은 우리의 몸을 편안하고 아름답게 해주고, 시는 우리의 영혼을 편안하고 아름답게 해주기 때문이다. 현대 산업사회가 되면서 약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었듯이, 시 역시 더 많이 필요한 세상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이 번역이나 한시(漢詩) 연구방법론에서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한글 시를 한시로 번역하는 과정은 그야말로 제2의 창작이기 때문에 저의 한역(漢譯) 방법을 보다 보면 연구자가 한시를 번역하고 해설하는 것을 감상자의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창작자의 입장에서도 볼 수 있는 자기만의 방법론을 만들어갈 수도 있을 듯하다. 감상자 입장에서 시를 대하면 밖에서 안을 들여다볼 수 있을 뿐이지만, 창작자 입장에서 시를 대하면 안에서 밖을 내다볼 수도 있다. 한시 연구자는 반드시 창작자 입장에 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지론이다.

-추후에는 어떤 연구나 작업을 하실 계획이신가?

△한 지인을 통해 사진작가 한 분을 만나게 되었는데, 이 작가님의 꿈이 만인보(萬人譜), 곧 1만 명의 프로필 사진을 찍어 전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저는 제 지인들에게, “나는 죽기 전까지 1천 편의 호시(號詩)를 지어 책으로 내겠다”고 호언을 했다. 올해 출간을 예정으로 현재 준비 중인 ‘현대인의 호(號)와 호시(號詩)·01’(가칭)이 바로 그 신호탄이 될 것이다. 그리고 지금도 조금씩 준비 중인, 진짜 제 필생의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시가(詩歌)에 관한 저서 집필도 하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