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 여파 영향
의복 소매판매 7.6% 급락
음식·숙박업 생산도 감소

고물가·고금리의 여파가 결국 소비감소로 연결되면서 경기침체를 더욱 부채질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지난해 가을 이후 우리 국민의 소비가 5% 안팎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 상황에서 고용시장마저 주춤하면서 그동안 한국 경제를 그나마 지탱했던 내수가 꺼지는 것이다.

경제주체들은 이런 상황을 견뎌내고자 ‘안 입고 안 먹는’ 방식을 선택했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대표적인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지난1월 기준 103.9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 109.4와 비교하면 5.03% 하락한 수치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개인·소비용 상품을 판매하는 2천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조사한 결과다.

경상 판매액에서 물가 변동 요인을 제거한 불변금액에서 다시 계절·명절·조업일수 등 변수를 빼낸 후 산출한다.즉 계절적 요인과 물가 상승률을 모두 뺀 경제주체들의 실질적인 소비 수준으로 볼 수 있다.

지난해 8월부터 1월까지 지수의 하락은 가을 이후 국내 소비가 5% 감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내구재(승용차·가전제품·가구 등 1년 이상 사용 가능한 고가 상품)와 준내구재(의복·신발·가방 등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 비내구재(음식료·화장품 등 1년 미만 사용 상품)로 나눌 때 이 기간에 소비 감소 폭이 가장 큰 품목은 준내구재였다.

준내구재 소매판매액 지수가 119.3에서 111.5로 6.5% 하락했다.

준내구재 중에서도 판매액 감소가 두드러지는 품목은 의복이다. 지난 가을을 거치면서 올해 1월까지 소매판매액 지수가 7.6% 급락했다.

일상적인 의류 소비는 그해 기상 여건의 영향을 받는 습성이 있지만 지난해 연말이나 올해 연초는 고금리나 고물가 요인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의류·신발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년 동월 대비 5.5%를 기록한 이후 올해 2월도 5.8%로 5% 후반대에 머물고 있다.

특히 1월 음식료품 소매판매액 지수는 97.2로 100을 밑돌았다.소매판매액 지수의 기준 시점이 2020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사태 때보다 식료품을 더 안 산다는 것이다. 음식·숙박업 생산도 감소했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반영, 이르면 이달 말쯤 내수 진작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