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터 파를러의 ‘미술가의 자소상’, 프라하 대성당

자기가 자기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자화상’이라고 한다. 자화상은 회화의 여러 장르들 중 초상화에 속한다. 초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려진 인물의 ‘재확인 가능성’으로 화가는 모델의 모습을 상상해서 그리지 않는다. 초상화는 주로 의뢰를 받아 그려졌기 때문에 주문자의 바람이 강하게 투영되어 이상화나 미화가 있을 수밖에 없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 통치자들의 모습을 그린 흉상이나 기마상을 감안한다면 서양미술사에서 자화상의 기원은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미술가가 자신의 얼굴을 독립된 주제로 그린 것은 빨라야 중세 후기이고 본격적으로는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서였다.

미술가가 자신의 모습을 작품에 묘사한 것으로 서양미술사가 알고 있는 가장 오래된 작품은 프라하의 성 비투스 대성당에 설치되어 있다. 보헤미안 지역에서 건축과 조각으로 큰 명성을 날렸던 파를러(Parler) 가문 출신의 페터 파를러는 1380년쯤 자신의 모습을 조각에 담았다. 왕족이나 귀족, 고위 성직자들의 흉상들과 나란히 미술가의 자소상이 교회 벽면에 설치된 것으로 보아 그의 영향력이 대단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파를러 집안에 속한 미술가들은 자신들이 제작한 조각 작품에 가문의 문장을 새겨 넣음으로써 미술품 브랜딩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독일 뉘른베르크의 성 로렌츠 교회에는 또 다른 조각가의 오래된 자소상이 하나 있다. 파를러의 작품처럼 독립된 자소상은 아니지만 아담 크라프트(Adam Kraft)라는 이름의 조각가가 성함 타버나클(tabernakel)을 제작하면서 자기의 모습을 집어넣었다. 1493년과 1496년 사이 화려한 장식의 고딕양식으로 만들어진 성함의 높이는 무려 20m에 달한다. 가장 아래에는 성함을 지탱하는 다리들이 있고 그 사이 사이 작은 크기의 인물상들이 몸을 숙여 등으로 무게를 견디고 있다. 조각가는 이 인물들 중 하나에 자기 모습을 새겨 넣었다. 이 조각은 미술사에서 가장 오래된 미술가의 모습을 담은 전신조각상으로 여겨진다.

미술가의 자화상은 미술가의 사회적 지위와 깊은 관계를 가진다. 르네상스에 앞선 중세시대 동안 미술가들은 수공업자에 불과했다. 육체노동으로 여겨졌던 미술가들의 창작활동이 르네상스에 이르러서야 고도의 지적 정신적 능력을 요구한다는 인식이 생겼다. 이탈리아 출신의 거장들이 르네상스의 문을 열었지만 정작 이들은 자신들의 얼굴을 그림의 주제로 담지 못했다. 베노초 고촐리나 마사초, 라파엘로와 같은 화가들은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거대한 그림에 등장하는 다수의 인물들 속에 자신의 얼굴을 숨기듯 슬쩍 집어넣기도 했다.

서양미술사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얼굴을 기념비적으로 그린 화가는 독일의 르네상스 거장 알브레히트 뒤러(1471∼1528)이다. 뮌헨 알테 피나코테크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뒤러의 자화상은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미술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무엇보다 화가의 자화상이라는 주제를 다룰 때면 빠질 수 없이 언급될 수밖에 없는 걸작이다. 금빛 곱슬머리가 길게 흘러내린다. 영민하고 날카로운 눈빛은 세계를 꿰뚫고 유난히 밝게 빛나는 손은 무엇이든 창작해 낼 수 있는 최고의 도구처럼 보인다. 뒤러의 자화상은 화가의 모습 너머에 있는 존귀함과 고귀함까지 뿜어내고 있다.

뒤러보다 한 세기 뒤에 활동한 화가로 17세기 네덜란드 황금시대를 이끌었던 렘브란트(1606∼1669) 또한 자화상 계보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렘브란트는 서양미술사 전체를 통틀어 자화상을 가장 많이 남긴 화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렘브란트의 자화상은 유화, 드로잉, 판화를 포함해 80여점 가까이나 된다. 빈센트 반 고흐가 남긴 자화상이 36점 정도로 알려져 있으니 수적으로 비교가 되지 않는다. 렘브란트의 자화상을 제작연도에 따라 나열하면 화가가 살아온 생의 여정을 읽을 수 있다. 비단 렘브란트만이 아니라 모든 미술가의 자화상에는 미술가 개인의 삶과 고뇌 등 그의 인간적 면모가 투영되어 있음으로 감동의 깊이가 다르게 다가온다. /김석모 미술사학자